Flutter Install (플러터 설치하기) - Windows
Flutter 공식 사이트는 아래와 같다.
친절하게도 한글 사이트도 있다. 비교적 고퀄리티의 한글 번역이다!!!
구글링으로 선배님(?)들이 먼저 설치해본 결과를 찾아서 따라하려다가
직접 공식 사이트에 있는 설치 방법을 따라해보기로 마음먹었다.
Flutter는 Windows/macOS/Linux 환경을 모두 지원한다.
습관처럼 Linux 환경에서 설치하는 것으로 하려다가
이번에는 그냥 한 번 Windows 환경에서 설치해보기로 마음을 바꿨다.
이유는... 없다. 그냥...
1. System requirements
- 뭐 당연히 Windows 7 SP1 이상이어야 하고 설치할 하드 공간도 400MB 이상 필요하고... 뭐, 블라블라...
① PowerShell 5.0 이상
- Windows10 사용하고, 최신 업데이트를 했다고 하면 당연히 맞출 수 있는 조건일텐데...
- 버전 확인은 아래와 같이 할 수 있다.
- 시작 메뉴를 통해 "powershell"을 찾아서 실행한 뒤에
- "$PSVersionTable" 명령어를 실행하면 위와 같이 version을 확인할 수 있다.
② Git
- Git도 미리 설치해놓아야 한다고 한다.
- 아래 사이트를 통해 Git for WIndows 패키지를 설치하면 된다.
- Git Bash 실행해서 "git --version"으로 확인해보자.
2. Install Flutter SDK
- Flutter SDK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면 되는데... 이왕이면 Git을 이용해서 해보겠다.
- 위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보통 Application을 설치하는 "C:\Program Files\" 경로는 사용하지 말란다.
- "C:\src" 디렉토리를 만든 다음에
- "git clone https://github.com/flutter/flutter.git -b stable" 명령어를 이용해 Flutter SDK를 받아오면 된다.
3. Set Path
- flutter를 막 실행하기 위해 PATH를 설정해보자
- '시스템 속성'에서 '환경 변수' 부분을 찾으면 된다.
- '환경 변수'에서 '시스템 변수'에 있는 'Path'를 찾아서 편집을 누르면...
- 방금 설치(? 다운로드?)한 flutter의 bin 디렉토리를 추가해주면 된다.
- Git Bash를 종료한 뒤에 다시 실행하고, "flutter --version"을 실행해보자.
- 뭔가 오류처럼 나오는건 git bash 에서 실행해서 그렇다.
- PowerShell에서 실행을 하면 갑자기 뭔가를 설치하고선 version 정보를 보여준다.
4. Doctor
- flutter를 실행하기 위한 환경이 잘 갖춰져 있는지 검사를 해주는 기능이 있다.
- "flutter doctor"를 실행하면 검사를 하게 되는데... 이런... Android Studio가 결국은 필요하다.
5. Android Studio
- 아래 사이트에 접속해서 Download 및 설치를 진행하자
.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index.html
- 설치 잘하고 나면 열심히 환경 설정을 해줘야 한다.
- Configure의 "SDK Manager"를 선택하자
- "SDK Tools" 탭 선택 후 오른쪽 하단에 있는 "Hide ..." 체크를 해제하면 나오는 "Android SDK Tools (Obsolete)"를 설치하자
- 나중에 스마트폰 연결을 위해 "Google USB Driver"로 설치하자.
- 스마트폰에서는 "Developer options"와 "USB debugging"을 열어줘야 한다.
. Note8 에서는 설정-휴대전화 정보-소프트웨어 정보-빌드 번호 (7번 이상 연타) -> 개발자 모드
. Note8 에서는 설정-개발자 옵션 -> USB Debugging On
6. Emulator
- 에뮬레이터를 실행하기 위한 환경 설정을 해보자.
- Configure에서 "AVD Manager"를 선택하자.
- 가상 디바이스를 생성하는 것이다.
- 원하는 디바이스를 고르면 된다
- 가상 디바이스에 설치할 Android 버전을 골라서 Download 해주면 된다.
- 그런데, 오른쪽에 Intel HAXM이 설치 안되었다고 나오는데... 필자는 AMD이다보니 설치에 애를 먹어서...
- 그냥 드럽고 치사해서 실제 Device 물려서 테스트하기로 했다 !!!
7. Plugin
- Android Studio에서 Flutter를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plugin을 설치해야 한다.
- Plugins 메뉴를 통해서 설치할 수 있다.
- flutter로 검색하면 바로 나온다. 설치하자.
- 설치가 끝나면 IDE를 재시작할거냐고 물어본다. 그에 응하자~
8. Test App
- 잘 되는지 한 번 해보자.
- 위 화면의 두번째 항목을 선택하자 "Start a new Flutter project"
- Flutter Application 으로 만들어보자.
- 두번째 항목인 Flutter SDK Path는 앞에서 설치한 아이의 경로로 잡아주면 된다.
- 아니면 새로운 경로로 설치를 해도 된다.
- 개인적으로 뭐가 뭔지 아직은 잘 모르겠어서... 그냥 무조건 Go! Go!
- 스마트폰을 연결하면 위와 같이 Target으로 등장하고, Run 시키면 빌드해서 폰에 앱 설치 후 실행까지 짠~ 하고 된다.
- "+" 버튼을 누르면 숫자가 올라간다~
간단한 줄 알았는데... 뭔가 한 참 진행을 해야했지만, 스마트폰에 뭔가 짠~하고 뜨니 기분은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