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 http://exam.ybmsisa.com/sjpt/



SJPT (Spoken Japanese Proficiency Test)

   1. 자기 소개                                                      : 4문항
   2. 그림보고 간단하게 답하기                                : 4문항
   3. 상황에 맞게 신속하게 답하기                            : 5문항
   4. 자신과 관련된 질문에 간단하게 의견 말하기        : 5문항
   5. 생각, 의견 등을 묻는 질문에 논리적으로 답하기   : 4문항
   6. 질문을 들으면서 그림을 보고 상황에 맞게 답하기 : 3문항
   7. 연속된 4개의 그림을 보고 줄거리 설명하기          : 1문항
반응형

'Language > Japane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JPT - 제1부 : 자기 소개 (4문항)  (1) 2013.12.01

□ SW : Thunderbird v24.1.0
□ OS : MS Windows 7 Ultimate K SP1 64bit


회사에서 외부메일을 모두 막아버려서 개인 이메일을 집에서 관리를 해야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래서 아웃룩을 사용할까 하다가... 썬더버드를 한 번 사용해보고자 설치를 했다.


그런데, 메일을 열 때마다 외부 콘텐츠가 차단되었다며 대부분의 메일이 아래와 같이 보이는 것이다.


물론 오른쪽 위의 "외부 콘텐츠 표시"를 눌러주면 정상적으로 출력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메일을 열 때마다 그렇게 하기에는 너무 불편하다.


[도구] → [설정] 을 누르고,


[고급] → [일반] → [고급설정] → [설정 편집]을 선택한다.


고급 기능 사용 동의를 해주고,


"mailnews.message_display.disable_remote_image" 항목을 찾는다.
검색 기능이 있어서 비교적 손쉽게 찾을 수 있다.


해당 항목을 더블 클릭하면 값이 false로 변경 된다.


설정 창들을 모두 닫으면 해당 설정이 바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재실행이나 재부팅이 필요없다는 점은 정말 편하다.


썬더버드... 꽤 빠르고 가볍고 쓸만하다!
반응형

테스트 환경 : Ubuntu 12.04 64 bit

/etc/hosts 파일에 설정을 했는데,
해당 내용이 Chrome, Firefox에 반영이 안되는 경우

즉, /etc/hosts 파일에 다음과 같이 작성을 했다고 해보자.

$ sudo nano /etc/hosts


...
123.123.123.123      www.whatwant.com 


그리고나서 Chrome을 실행시킨 후, 주소에 다음과 같이 입력을 했다고 해보자.

http://www.whatwant.com


그러면, 본래 [ http://123.123.123.123 ] 주소로 연결이 되어야 하는데... 안될 수가 있다.

$ ping www.whatwant.com

 
위와 같이 테스트를 해보면 [ 123.123.123.123 ] IP로 잘 동작을 한다.
그러니 더욱 미칠일이다.

구글링을 하면 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 많이 나오는데, 정답을 알려주는 곳은 별로 없다.


hosts 파일을 caching하고 있기에 재시작을 해야한다는 말도 있고, 인터넷 사용 흔적(?)을 지워야 한다는 말도 있고...


필자의 경우에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바로..... Proxy 때문이었다.
Proxy 설정이 되어 있으면, /etc/hosts 파일의 정보에 앞서서 Proxy한테 먼저 가버린다.

이런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Proxy 예외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 sudo apt-get install dconf-tools
$ dconf-editor


X-Windows에서 dconf 에디터가 뜬다. (사내 보안 정책으로 스크린샷 파일은 업로드가 어렵다 ^^)
오른쪽 메뉴의 [ system - proxy ] 메뉴를 선택하면,

ignore-hosts ['localhost', '127.0.0.0/8']


위와 같은 내용이 보인다. 이 부분에 원하는 주소를 추가하면 된다.

ignore-hosts ['localhost', '127.0.0.0/8', 'www.whatwant.com']


이렇게 하면... 원하는 결과가.... 짜잔~


반응형


1. 필수 패키지 설치

$ sudo apt-get install make libcurl4-gnutls-dev libexpat1-dev gettext libz-dev libssl-dev asciidoc xmlto autoconf

 

 

2. 다운로드

$ cd /srv/install/git

$ wget http://git-core.googlecode.com/files/git-1.8.4.1.tar.gz
$ tar zxvf git-1.8.4.1.tar.gz
$ cd git-1.8.4.1/


3. 빌드

$ make configure
$ ./configure --prefix=/usr/local
$ make all doc
$ sudo make install install-doc install-html

   -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을 해보기 위해서 버전 확인을 해보자.

$ git --version



GIT 자동완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 http://whatwant.tistory.com/478


우리 모두 Git으로 행복한 형상관리를...


반응형

기본적으로 RedHat 기본 계정이 root라고 전제하고 진행하면 되겠다.


1. 계정 생성

$ adduser git
$ passwd git
$ adduser gitolite
$ passwd gitolite




2. gitolite 다운로드

$ su git
$ cd
 $ git clone http://github.com/sitaramc/gitolite.git
$ cd gitolite/




3. 관리자 SSH Public-Key 파일 확보 하기

$ exit

$ su gitolite
$ ssh-keygen

$ exit
$ cp /home/gitolite/.ssh/id_rsa.pub /home/git/gitolite/gitolite.pub
$ chown git:git /home/git/gitolite/gitolite.pub 




4. 설치하기

$ su git
$ /home/git/gitolite

$ ./install
./src/gitolite setup -pk ./gitolite.pub




5. gitolite 관리자 계정

$ exit
$ su gitolite
$ cd

$ git clone git@localhost:gitolite-admin.git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seinfra@whatwant.com"

$ git config --global user.name "seinfra"

$ git config --global push.default matching



gitolite 사용법이나 기타 사항은 별도의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라며...


반응형

빌드하기 위해 필요한 패키지들을 미리 설치합시다.

yum install curl-devel expat-devel gettext-devel openssl-devel zlib-devel gcc xmlto


asciidoc 은 직접 받아서 설치를 해야 한다.

$ cd /srv/install/asciidoc
wget http://pkgs.repoforge.org/asciidoc/asciidoc-8.6.8-1.el6.rfx.noarch.rpm
$  rpm -Uvh 
asciidoc-8.6.8-1.el6.rfx.noarch.rpm

git 소스파일을 내려 받아야겠죠?!

$ cd /srv/install/git
$ wget  http://git-core.googlecode.com/files/git-1.8.4.1.tar.gz
$ tar zxvf git-1.8.4.1.tar.gz
$ cd ./
git-1.8.4.1  


 Ubuntu에서 했던 것과 차이가 없죠 !?

$ make configure
$ ./configure --prefix=/usr/local
$ make all doc
$ sudo make install install-doc install-html

버전 확인 !

$ git --version


GIT 자동완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 Git으로 행복한 형상관리를...
반응형

오래간만에 Official Release가 나왔다.


이번 릴리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

   - http://www.oracle.com/us/corporate/press/2033376

 News Summary

Oracle VM VirtualBox 4.3 introduces a virtual multi-touch user interface, supports additional devices and platforms, and provides enhanced networking capabilities enabling developers to virtualize modern post-PC era operating system features while maintaining compatibility with legacy operating systems.


이제는 가상 PC가 멀티 터치를 지원하는 세상이 되었다. 오호...
그리고, 네트웍 부분에 대해서도 많은 향상이 있단다.

무조건 닥치고 설치~!!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반응형

회사 업무로 인하여 뜬금없이 MySQL을 설치를 해야하는 상황
그래서 한 번 집에서 소스설치에 대해서 미리 살펴보기로 했다.

mysql과 같은 경우 대중화(?)된 소프트웨어이기에 apt-get을 이용해서 설치를 해도 되겠지만,
나름 정식으로 사용하는 놈인데, 버전 관리를 위해서라도 소스코드를 이용해서 빌드 설치를 해보고자 한다.

   - http://www.mysql.com/

소스코드 빌드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서 찾아볼 수 있다.

   - http://dev.mysql.com/doc/refman/5.6/en/installing-source-distribution.html

우리가 사용해도 되는 버전은 다음과 같다.

   - MySQL Community Edition (GPL)

다음의 주소에서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다.

   - http://dev.mysql.com/downloads/

Database Server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음 제품을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 MySQL Community Server (GPL)


▷ 테스트 환경 : Ubuntu 12.04 64bit LTS


이제 본격적으로 진행을 해보자.

1. 빌드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하자.

$ sudo apt-get install -y cmake build-essential libtool libreadline6-dev libncurses5-dev libbison-dev libaio1 libaio-dev libssl-dev bison m4


2. 다운로드 받고 압축 풀기

$ cd /srv/install/mysql
$ wget http://cdn.mysql.com/Downloads/MySQL-5.6/mysql-5.6.14.tar.gz
$ tar xvfz mysql-5.6.14.tar.gz
$ cd mysql-5.6.14


3. CMake 실행

   - 제일 뒤의 [ . ]을 포함해야 한다.

$ cmake -DCMAKE_INSTALL_PREFIX=/usr/local/mysql-5.6.14 -DWITH_INNOBASE_STORAGE_ENGINE=1 -DDEFAULT_CHARSET=utf8 -DWITH_EXTRA_CHARSETS=all -DDEFAULT_COLLATION=utf8_general_ci -DMYSQL_TCP_PORT=3306 -DMYSQL_UNIX_ADDR=/var/run/mysqld/mysqld.socket .

   - 만약 뭔가 에러가 발생해서 다시 cmake를 하고 싶다면...

$ rm -rf ./CMakeCache.txt

   - 지우고 다시 cmake 실행


4. make 실행 및 설치

$ make
$ sudo make install
$ sudo ln -s /usr/local/mysql-5.6.14 /usr/local/mysql

   - 만약 뭔가 에러가 발생해서 다시 make를 하고 싶다면...

$ make clean
$ make



5. MySQL이 사용할 계정 생성

$ sudo groupadd mysql
$ sudo useradd -M -d /usr/local/mysql -g mysql -s /usr/sbin/nologin mysql



6. 환경 설정

$ cd /usr/local/mysql
$ sudo cp ./support-files/my-default.cnf /etc/my.cnf
$ sudo nano /etc/my.cnf

...
character-set-server = utf8
collation-server = utf8_general_ci
character-set-client-handshake = false


7. 기본 DB 설치 및 파일 권한 설정

$ sudo chown root.mysql -R /usr/local/mysql
$ sudo chown root.mysql -R /usr/local/mysql-5.6.14
$ sudo chown mysql.mysql -R /usr/local/mysql/data
$ sudo chown mysql.mysql -R /usr/local/mysql-5.6.14/data

$ cd /usr/local/mysql
$ sudo /usr/local/mysql/scripts/mysql_install_db --user=mysql --basedir=/usr/local/mysql --datadir=/usr/local/mysql/data



8. 실행 및 패스워드 설정

$ cd /usr/local/mysql
$ sudo ./bin/mysqld_safe --user=mysql &

$ ./bin/mysqladmin -u root password "패스워드"


9. 자동 실행 설정

$ sudo cp ./support-files/mysql.server /etc/init.d/mysqld
$ sudo update-rc.d mysqld defaults


10. 경로 설정

$ sudo nano /etc/environment

PATH="......:/usr/local/mysql/bin"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다.

세밀한 환경 설정이나 기타 사용법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회가 되면....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