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로 인한 저작권법 협박(?)들과 함께
몇 몇 소송들로 인한 저작권법 공포로 인해서 잠시 문닫았던 포스팅을 다시 오픈한다.
( 참조 : http://likms.assembly.go.kr/law/jsp/law/Law.jsp?WORK_TYPE=LAW_BON&LAW_ID=A0715&PROM_DT=20111202&PROM_NO=11110 )

-------------------------------------------------------------------------------------------

제가 소개하는 내용에는 스포일링이 많을 수 있음을 사전에 말씀드립니다!

2008년작품으로 실제 흥행도는 모르겠지만,
나름 지명도는 얻은 작품이다.

특이한 '핸드헬드 카메라 워킹' 하나만으로도 꽤 유명세를 탔던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치 몰래카메라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
'핸드헬드 카메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카메라를 계속 들고다니는 역할을 맡은 조연
조금은 찌질이 느낌이 들기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일 예쁘고 매력적인 여자 조연...
이 영화는 남자 주인공 하나에 모조리 조연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카메라 찌질이가 좋아하는 여인네 역할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티 중에 폭발이 화려하게 시작하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영화가 유명세를 타게 된 2번째 장면!
자유의 여신상 머리가 슈우웅~ 날라와서 데굴데굴~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군인들은 열심히 싸우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뭐 이래저래 해서 난국을 뚫고 헬기타고 탈출을 성공하는 듯 하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레파토리에서 자주 쓰는 방법!
도시 하나 날릴 셈치고 핵폭탄(?) 투하~

→ 댓글로 지적해주신 내용으로는, 핵폭탄이 아니라 "네이팜탄"이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버뜨~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엔딩은 뭐...
싸그리!


클로버필드2는 2011년에 나온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어두운 영상을 싫어한다.
까만 화면이다 보니 놓치는 것들도 많고 째려보느라 눈도 피곤하고...
비교적 흔들림을 적게 넣었다고는 생각하지만
핸드헬드 기법으로 인해 조금은 어지러운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시도부터 내용까지 신선하다는 점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외계인의 침공(?)에 맞서는 주인공이 아니고,
그러한 침공 때문에 피해를 입고 죽어나가는 일반 평범한 민간인의 이야기!

대체 그 외계인인지 돌연변이일지 모를 것이 나타나서
왜 그렇게 도시를 휩쓸고 지나가는 것인지
없앨 수는 있는 것인지
누가 그것을 없앨 것인지
뭐 그러한 정보는 전혀 없다.

그러기에 당연히 후속편이 나올 것을 예측할 수 있었고 말이지...

하지만,
영화의 결말에서 조금은 언짢을 수 밖에 없는 현실은...
결국 죽어버린 애들의 사소한 이야기를 왜 15분 넘게 보여준 것인지...
사실 감정이입을 위해서라고 하기에는 너무 긴 시간은 아니었는지...


네티즌 평점 : 6.91
나만의 평점 : 7.25


사실 영화관에서 제 돈 주고 보기에는 좀 아쉬운 영화다.
본편을 위한 에필로그 정도?!

2편이 나오면 보기 전에
미리 보고 가는 것은 추천!!

- 추가 : 2010.09.21
이 영화는 상당히 호불호가 갈리는 영화인 것 같습니다.
제가 전문 리뷰어나 평론가가 아니므로
여기에 올린 글은 개인적인 관람평이니, 그냥 그렇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FTA로 인한 저작권법 협박(?)들과 함께
몇 몇 소송들로 인한 저작권법 공포로 인해서 잠시 문닫았던 포스팅을 다시 오픈한다.
( 참조 : http://likms.assembly.go.kr/law/jsp/law/Law.jsp?WORK_TYPE=LAW_BON&LAW_ID=A0715&PROM_DT=20111202&PROM_NO=11110 )

-------------------------------------------------------------------------------------------

개봉 - 2011.08.25
러닝 - 102분
등급 - (국내) 청소년 관람불가

KBS2에서 방영한 "영화가 좋다"에서 '행오버2'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1편에 이어 2편도 찍었다는 영화


'타이슨' 아저씨도 나온다는 영화


오잉?! '색계', '브로큰백 미운틴'의 이안 감독 아들도 나온다고?!


한국 이름 '정봉조'.
특이하게도 전직 의사다!
트랜스포머3, 동물원 사육사 등의 영화에도 출연했고,
커뮤니티, 더 오피스 등의 드라마에도 출연했다.


83년생으로
'써커펀치', '여대생 기숙사', '드래곤볼 에볼루션' 등의 영화에 출연했단다.


이런 정보를 보고는 '행오버 2'가 보고 싶었다.
그래서 일단 1편 정주행 후에 2편도 바로 보았다.


참고로 이하 내용은
스포일링이 엄청 심하니...^^
알아서... 판단하시기를...



반응형

Ubuntu를 설치하고 나면, 그다지 손댈 부분이 없다.
하지만, 터미널의 기본 폰트는 정말 내 취향이 아니다!!!!


아~ 저 둥글둥글 한글 폰트~ 우웩~ ^^
거기에다가 소스 코딩 같은 작업을 할 때에 정말 햇갈리는 글자들도 많다.

그래서, 폰트를 바꾸려고 하는데 기본적으로 포함되어있는 것들 중에서는 그다지 마음에 드는 것이 없어서
추가로 폰트를 설치해서 사용하고자 한다.

sudo apt-get install xfonts-terminus ttf-inconsolata ttf-nanum ttf-nanum-coding

그 다음에는 뭐, 터미널의 프로파일 변경을 통해 폰트를 변경해주면 된다.

개인적으로는 코딩용 나눔 폰트나 inconsolata 폰트 정도가 딱 좋은 것 같다.

반응형

'OS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부팅 時 자동 실행  (2) 2013.03.27
sudo 패스워드 안물어보기  (2) 2012.12.22
Linux in PowerPC (Mac Mini - A1103)  (0) 2012.09.04
Ubuntu 원격접속 (xrdp, vnc)  (3) 2012.08.30
Ubuntu - sudoers visudo  (3) 2012.08.18

드디어 4.2 버전이 공식적으로 릴리즈 되었다.

   - http://www.oracle.com/us/corporate/press/1842885


나름 큰 변화가 있는 Major upgrade가 된 VirtualBox이다!

보다 스마트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네트웍 성능 향상, 그리고 Windows8이나 Mac OS X 10.8 "Mountain Lion"과 같은 새로운 운영체제 지원 등이 장점이라고 한다.


새로운 VirtualBox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해보면

   - VM(VirtualMachine)을 그룹 관리할 수 있다.
   - 보다 유연해진 VM 실행 옵션을 제공해준다.
   - VM 하나당 네트웍 카드 지원 제한 갯수가 증가했고 네트웍 성능도 좋아졌으며, VLAN 이라는 것도 지원(?)하고
   - 추가적으로 Windows 8, Mac OS X 10.8 "Mountain Lion", Oracle Linux 6.3 환경도 지원한다.


그러고보니 개인적으로는.... 별다른게 없네!?

뭐 여하튼 VirtualBox의 Major Version-up 되었답니다!!!
반응형

늦은 여름휴가를 다녀오니 어느새 새로운 버전이 출몰했다!!!

VirtualBox 4.1.22 (released 2012-09-07)

This is a maintenance release. The following items were fixed and/or added:

  • VMM: fixed a potential host crash triggered by shutting down a VM when another VM was running (only affected 32-bit hosts and 64-bit OS X hosts, 4.1 regression, bug #9897)
  • VMM: fixed a potential host crash under a high guest memory pressure (seen with Windows 8 guests)
  • VMM: respect RAM preallocation while restoring saved state.
  • VMM: fixed handling of task gates if VT-x/AMD-V is disabled
  • Storage: fixed audio CD passthrough for certain media players
  • USB: don't crash if a USB device is plugged or unplugged when saving or loading the VM state (SMP guests only)
  • RTC: fixed a potential corruption of CMOS bank 1
  • Mac OS X hosts: installer fixes for Leopard (4.1.20 regression)
  • Windows Additions: fixed memory leak in VBoxTray (bug #10808)


이번에는 중요한 crash들을 많이 해결을 했단다. 꼭 업데이트하기를 추천한다.

   - 다른 VM이 동작중인데, 셧다운을 할 때에 발생하는 충돌 해결
   - Windows 8 게스트에서 메모리를 많이 사용할 때 발생하는 충돌 해결
   - 저장된 상태를 복구할 때에 RAM을 미리 확보
   - CMOS bank 1의 중요한 충돌 해결
   - VBoxTray에서 메모리 누수 해결

뭔가 많이 고쳤다니 꼭 반영하세요~!!!
반응형

할아버지가 된 고물 맥미니를 현역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고군분투를 하고 있다.

우선은 Ubuntu를 사용하다가 너무 느려서 Xubuntu를 선택해봤는데,
직접 체감해본 성능으로 보면 Xubuntu를 선택한 것은 탁월한 결정이었다.

하지만, 그래도 계속 욕심이 생기는 것을 보면 어쩔수 없이 내 안에 Geek 기질이 내포되어 있나보다.


우선 저성능 환경에서 가장 추천하는 배포판은 Xubuntu 였다.
그러나 Xubuntu 역시 최신 버전은 조금 무거워진 감이 없지않아 있기 때문에
더욱 가벼운 배포판으로 추천받는 것은 "CrunchBang Linux"라는 것이다.

     - http://crunchbanglinux.org/

처음에는 Ubuntu 기반으로 만들어졌지만, 최근에는 Debian 기반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아직 체험해보기 전이지만,
체험기를 보면 정말 저성능의 환경에서도 원활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할아버지 맥미니에 "CrunchBang Linux"를 설치해보려 했지만,
안타깝게도 CrunchBang 역시 Intel 기반에 대해서만 배포판을 제공하고 있다. (32bit & 64bit)



정말 안타까운 현실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접근 방법을 달리해보았다.
PowerPC를 지원하는 Linux 배포판을 찾아보고 그 중에서 쓸만한 것을 고르는 방향으로...

     - http://penguinppc.org/

위 사이트를 보면 PowerPC를 지원하는 배포판을 소개해주고 있다.
하지만, 쓸만한 정보는 없고 최근에는 Fedora 릴리스 소식만 적혀있다.

다음으로 찾은 사이트는 아래와 같다.

     - http://mac.linux.be/content/apple-powerpc-wiki

여기에서 소개된 패키지들을 보면, 그나마 Arch Linux가 쓸만한 것으로 보이는데
안타깝게도 기본적으로 x86 기반의 배포판이며, PowerPC를 위한 ArchLinuxPPC 배포판이 있었지만 지금은 없다.


MintPPC, Yellow Dog 등의 몇 가지 배포판을 더 찾기는 했지만...


결국 쓸만한 배포판을 새로 찾지는 못했다.



지금 현재 할아버지 미니맥에 설치할만한 Linux 배포판은 Xubuntu 밖에 없다는 결론~
다음에 고조할아버지뻘 되는 노트북에 CrunchBang은 한 번 설치해봐야겠다.

반응형

'OS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do 패스워드 안물어보기  (2) 2012.12.22
Ubuntu 터미널 폰트 변경  (0) 2012.09.15
Ubuntu 원격접속 (xrdp, vnc)  (3) 2012.08.30
Ubuntu - sudoers visudo  (3) 2012.08.18
우분츄 - 세계최초! 학원 우분투 러브코메디  (1) 2012.08.15

Ubuntu를 사용하는 분들 중 상당수는 과거 CUI - Consol User Interface 를 좋아하는 분들이다.
이런 분들은 그냥 SSH 접속만으로도 충분히 만족을 한다.
터미널 접속만으로도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Ubuntu를 통해 처음 Linux를 접하는 분들 또는 GUI 환경을 좋아하는 분들은
그것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한다.
아름다운 X-Windows 환경을 원격 접속을 통해서도 계속 사용하고 싶어하는 것이다.


원격에서도 X-Windows를 그대로 사용하고픈 사용자들을 위해서
과거부터 X-Manager와 같은 많은 유틸리티들이 있었고 VNC와 같은 대표적인 도구도 있다.



그렇지만, MS-Windows 환경이라면
이제는 Ubuntu의 X-Windows를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냥 "원격 데스크톱 연결(mstsc)"을 사용해서 접속 사용할 수 있다.


$ sudo apt-get install xrdp

[ xrdp ]라고 해서 이전과 다른 새로운 패키지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결국은 VNC 기반이다.

위와같이 [ xrdp ]만 설치되면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처음 연결을 할 때의 해상도를 로그아웃할 때까지 유지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설정을 미리 변경하고 접속을 시도하는 것이 좋다.


로그인 화면이 예전에 많이 보던 VNC 화면과 유사, 아니 동일하다 ^^


접속을 하면 예쁘게 나타난다.
이제 X-WIndows 화면을 통해 원격으로 편하게 작업을 할 수가 있다.



그런데, 가끔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session이 제대로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인데, 알맞은 session을 직접 지정해주는 방법으로 해결을 할 수 있다.

보통 구글링을 하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을 하곤 한다.

$ nano ~/.xsession

접속하려는 계정의 홈디렉토리 밑에 [ .xsession ] 파일을 만든다.

gnome-session --session=ubuntu-2d

그 안에 위와 같은 내용을 쓴 다음, 다시 원격 접속을 시도하면 보통 성공을 한다고 한다.


추정이지만,
위와 같이 해결이 되는 경우는 최근 Ubuntu에서 사용하고 있는 Unity의 경우
원격 접속을 통해서는 제대로 된 출력을 할 수 없어서 에러가 발생을 하고
그래서 직접 [ ubuntu-2d ] session으로 원격 접속을 지원하도록 하면 대부분 문제가 해결이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해서 해결이 되는 경우는 [ ubuntu-2d ] session이 정상적인 동작을 하는 경우에만 적용이 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당연히 계속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gnome-session --session=gnome-classic

$ sudo service xrdp restart


보통 ubuntu를 일반적으로 설치했을 경우 지원하는 session은 [ ubuntu-2d ] 또는 [ gnome-classic ]이다.

사용할 수 있는 xsession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아래와 같이 실행하면 된다.


$ ls -al /usr/share/xsessions/

위 스크린샷은 일반적인 ubuntu가 아니라 [ xubuntu ]를 설치했을 경우에 나오는 화면이다.



모두들 즐거운 Ubuntu 생활하길~!!!


반응형

'OS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터미널 폰트 변경  (0) 2012.09.15
Linux in PowerPC (Mac Mini - A1103)  (0) 2012.09.04
Ubuntu - sudoers visudo  (3) 2012.08.18
우분츄 - 세계최초! 학원 우분투 러브코메디  (1) 2012.08.15
Ubuntu CPU 정보 확인하기  (0) 2012.08.15


하아~ 또 늦었다.
매번 감시할 때엔 조용히 있다가 좀 긴장을 늦추면 재빨리 새로운 버전을 내놓는 VirtualBox.

     -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VMM: fixed a crash under rare circumstances for VMs running without hardware virtualization
•VMM: fixed a code analysis bug for certain displacement instructions for VMs running without hardware virtualization
•VMM: fixed an interpretion bug for TPR read instructions under rare conditions (AMD-V only)
•Snapshots: fixed a crash when restoring an old snapshot when powering off a VM (bugs #9604, #10491)
•VBoxSVC: be more tolerant against environment variables with strange encodings (bug #8780)
•VGA: fixed wrong access check which might cause a crash under certain conditions
•NAT: final fix for crashes under rare conditions (bug #10513)
•Virtio-net: fixed the problem with receiving of GSO packets in Windows XP guests causing packet loss in host-to-VM transfers
•HPET: several fixes (bugs #10170, #10306)
•Clipboard: disable the clipboard by default for new VMs
•BIOS: the PCI BIOS was not properly detected with the chipset type set to ICH9 (bugs #9301, #10327)
•Mac OS X hosts: adaptions to Mountain Lion
•Linux Installer: fixes for Gentoo Linux (bug #10642)
•Linux guests: fixed mouse integration on Fedora 17 guests (bug #2306)
•Linux Additions: compile fixes for RHEL/CentOS 6.3 (bug #10756)
•Linux Additions: compile fixes for Linux 3.5-rc1 and Linux 3.6-rc1 (bug #10709)
•Solaris host: fixed a guru meditation while allocating large pages (bug #10600)
•Solaris host: fixed possible kernel panics while freeing memory
•Solaris Installer: fixed missing icon for menu and desktop shortcuts


이번 버전을 발표하고 나서 2일 있다가 "VirtualBox 4.2.0 RC1" 버전도 발표를 했다.
가만히 지켜보면 4.1.x 버전대는 안정화에만 투자하고 본격적인 개발은 4.2.x 버전대에 몰빵을 하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부분은 거의 없다.
뭐 드문 경우 발생하는 에러들을 잡았다니 무조건 업데이트 추천~^^


4.2.0 RC1 버전에 대해서는 별도로 F/U 하지 않겠다.
공식 배포하면 그 때부터 테스트해보도록 하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