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의 영화 페이지에 의하면 "이디오크러시"

짧게 표현하자면,
멍청이들이 지배하는 미래에 대한 코미디 영화


idiot + cracy = idiocracy
멍청이 + 통치 = 멍청이들이 지배하는 나라?


마이크저지 감독은 영화도 만들지만,
'잭 애스', '스파이 키드', '못말리는 이혼녀' 등의 조연도 하고 있는 배우이다.

문제는 바로 이 영화이다.
위의 자료를 보면 알겠지만, 투자금액이... 그에 반면 흥행 성적은...!!!


스토리는
미군 도서관 사서인 주인공은 아주 평범의 평범을 달리는 군인이다.
그 덕분에 냉동인간 실험 대상자로 선정이 된다.
더불어 창녀인 여주인공도 한 명 더 같이 실험에 동참을 하게 되는데,
문제가 발생을 해서 해동이 되어야 할 때 못하고
멍청이들이 지배하게 되는 세상에서 깨어나게 되면서 발생하는...


왜 미래세상이 멍청이들이 지배하게 되는가에 대한 근거가 아주 그럴듯 하다.
똑똑한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위하기에 애를 안낳기 시작하고,
멍청이들은 그냥 아주 막 거시기, 거시기.... 뭐 그런... ^^


이 영화는 사회를 풍자하는 블랙 코미디로 불리워진다.
하지만, 내 생각에는 그 정도까지는 아닌 것 같다는...
블랙 코미디를 표방하는 그냥 그저 그런 영화인 것 같은...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대안이 없는 그냥 풍자에서 그치기 때문이다.
만약 그냥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자(게토레이 → 물)가 대안이라면 정말...!

뭔가 풍자를 엄청 하기는 하지만,
뭔가 많이 부족하다.
괜히 흥행에서 참패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돈을 엄청 투자한 만큼 영화 자체의 설정에 대해서도
조금만 더 치밀했더라면 정말 정말 멋졌을 영화였을 것이다.

영화를 보면서 글로벌기업이라던가
아니면 뭔가 똑똑한 이들이 멍청이들을 지배하는 세상이라고
상상이 되버버려서 영화가 집중이 되지를 않았다.

멍청이들의 세상인데, 자동차가 굴러다니고
사람들은 바코드로 모든 것이 통제가 되고 있다.

그런데 그러한 것은 나오지를 않고 그냥 멍청한 세상이다.

이 또한 뭔가를 상징한다면 할 말이 없지만...



이 정도의 금액을 투자해서 만든 블랙코미디라면
나름 탄탄한 개연성을 갖고 있는 설정들이 있고
그 위에서 풍자들이 엿보여야지
조금 더 설득력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회 풍자를 좋아하고 미국 문화에 익숙하다면
한 번 쯤 봐볼만한 영화로 추천!

러닝타임이 84분이기에
짧은 킬링타임용 영화로도 추천!


뭔가 의미를 찾는 심각함을 추구하는 분이라면 비추!


돈 많이 들인 영화를 찾는 분에게는 추천!


네이버 평점은 6.55
나만의 평점은 4.95




Naver
   -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58378

Wikipedia
   - http://en.wikipedia.org/wiki/Idiocracy

Internet Movie Database
   - http://www.imdb.com/title/tt0387808/


[ 출처 ]
   * 포스터 및 스크린샷은 위키피디아에서 퍼왔음을 밝힙니다.
   (영화 관련 저작권 괴담은 너무 무서워요~)

[ 주의 사항 ]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영화평을 적는 공간이니만큼,
개인의 취향은 존중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건전한 비판이나 조언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반응형

이번에 소개할 내용은 일단 알려는 드리지만, 절대 추천하지 않는 명령어(옵션?) 이다.

파일을 수정한 이후 git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add를 통하여 staged 상태로 만든 후 commit을 해야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이 귀찮다면?


1. git commit -a

   - 소스 파일을 수정한 이후 add 과정 없이 바로 commit을 통해서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 commit의 옵션 중 '-a'를 사용하면 된다.


   - '-m' 옵션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석을 바로 적어주고 싶을 때 사용하는 옵션이다.


   - add 작업과 commit 작업을 합쳐서 한 번에 할 수 있는 것이다.



[ 주의사항 ]

새로운 파일을 등록할 때에도 'git add'를 사용한다.
그렇다면, 새로운 파일을 등록하고 commit을 할 때에도 'git commit -a'를 사용해도 될까?

답은 "안된다!" ^^




하지만, 이는 결코 추천하지 않는 방법이다.
그 이유는 무엇을 commit 하는지 명시하지 않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종 원하지 않는 것까지 commit을 하는 실수를 범한다.

무엇을 commit할 것인지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그냥 편의만 추구하는 것은
형상관리의 영속성을 해치는 가장 큰 악습 중 하나이다!!!!

이러한 방법이 있는 것만 확인하고 사용하지는 않기를 바란다~!!!
(그러면서 알려준다는 것 자체가 죄악인데... ^^)

반응형

git 의 Review 기능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하나씩 알아보았던 것들 중에서 놓친 것이나 조금 더 알아볼 것들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한다.


1. stage

   - git 에게 어떠한 action을 취할 대상들을 알려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 형상 관리를 하고자 하는 새로운 파일들, 반영을 하고자 하는 수정한 파일들 또는
     파일 이름을 변경하거나 삭제를 하거나 등등의 작업의 대상을 등록하는 것이다.

   - 다시 말하면, commit 을 할 내역을 알려주기 위한 과정이다.

   - 즉, 소스 파일을 수정을 열심히 하고 나서 commit 만 덜렁 하면?! 안된다!
     먼저 'git add'를 통해 stage 상태로 등록을 하고 commit을 해야 한다!


2. git commit -m

   - 간단한 주석과 함께 가볍게 commit을 하기 위해서는 '-m'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 앞에서 작업했던 것을 그대로 가지고 테스트를 해봤다.


3. git add --all

   - 앞에서 우리는 파일을 staging 하기 위해서 'git add 파일이름' 과 같이 일일이 명시해줬다.
   - 귀찮은 우리를 위해 좋은 옵션이 있다! 'git add --all'



4. git commit

   - 별다른 옵션 없이 그냥 'git commit'을 하게 되면 주석을 적기 위핸 에디터 창이 뜨게 된다.


   - 한글도 별 이상 없이 그냥 된다.
   - 다만 어려운 것은, 주석을 적을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뭐라 적어야 할 지 모르겠다는 점... ^^



5. git config --list & git log

   - 위에서 'git commit'을 하게 되면 에디터가 뜬다고 했는데, 나의 경우에는 'nano'가 떴다.
   - 예전에 이미 다 했던 것이지만, 복습하는 차원에서 다시 한 번 확인만 해보자.


   - 더불어 아쉬운 마음에 'git log'까지 한 번 확인해보자.


오늘은 여기까지~^^

반응형

'SCM >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도우미 - TortoiseGit (in Windows)  (0) 2012.02.05
One Shot - commit  (2) 2012.01.22
Compare - modify (git diff, git log) 2/2  (0) 2012.01.18
Compare - modify (git diff, git log) 1/2  (0) 2012.01.17
Tracking file - ignoring  (0) 2012.01.15

지난 내용에 더불어서 좀 특이한 경우를 살펴보기 위해서 보충해서 좀 적어보겠다.

소스 파일을 수정을 한 후 git 에게 commit을 할 것들을 알려주기 위해서 add를 했는데,
그리고 나서 또 수정을 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


1. modify cycle

   - 일반적으로 파일을 수정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소스 파일을 수정한 후 'git add'를 하여 staged 상태로 만든 후 'git commit'을 하면 되는 것이다.


2. modify

   - 소스 파일을 수정하는 과정까지 일단 해본다.


   - 위 화면을 설명해보면...

      ① 파일 목록을 확인 [ ls -al ]
      ② 현 상태 확인 [ git status ] → 'nothing to commit (working directory clean)'
      ③ 소스 파일 수정 [ nano abiParse.py ]
      ④ 현 상태 확인 [ git status ]
      ⑤ 변경 사항 확인 [ git diff ]


3. git add

   - 일단 staged 상태로 만들기 위해 'git add'를 하자.



4. modify

   - 'commit' 하기 전에 다시 또 수정을 하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보자.


   - 지금 상황에서 commit을 하게 되면 지금 수정하기 바로 전에 add를 한 시점에서의 내용이 commit이 되고,
   - 지금 변경한 내용까지 같이 commit을 하고 싶으면 다시 'git add'를 해주면 된다.


5. git diff

   - 이런 이상한 상황에서 각각을 확인하기 위한 'git diff' 에 대해서 알아보자.


   - [ git diff ]
      ▷ staged 되지 않은 변경 내역을 확인해 준다
      ▷ 즉, 수정을 하고 'git add' 를 하지 않은 내용을 보여준다
   - [ git diff --staged ]
      ▷ 지난 마지막 commit 에서부터 staged 된 내용까지의 변경된 내역을 확인해 준다
      ▷ 즉, 수정을 하고 'git add'를 해놓은 내용을 보여준다




조금 뭔가 햇갈리기 시작하시는 분은 아직 git의 staged 상태에 대해서 느끼지 못하셔서이다.
다음 번에는 이 staged 된 상태에 대해서 보다 더 다뤄보도록 하겠다.

반응형

'SCM >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One Shot - commit  (2) 2012.01.22
git Review - stage, add, commit  (0) 2012.01.19
Compare - modify (git diff, git log) 1/2  (0) 2012.01.17
Tracking file - ignoring  (0) 2012.01.15
Tracking file - add, status, commit  (0) 2011.11.30

git 에게 관리할 파일을 알려준 다음 우리가 경험하게 되는 다음 일은 바로 파일의 수정이다.
(아래에서 보는 코드의 원본은 open-source 로 진행되는 videoparser 이다)

관리 중인 소스 파일 중 하나를 수정한 이후...


1. modify & git status

   - 코드를 수정한 후 'git status'를 실행한다
   - 'modified' 된 파일이 확인된다.

 



2. git diff

   - 과연 무엇을 수정했는지 그것을 알고 싶으면 'git diff'를 실행하면 된다.



3. git add

   - 수정된 파일을 git 에게 알려주기 위해서는 우선 'git add' 과정을 다시 거쳐야 한다.



4. git commit

   - 최종적으로 'git commit'을 실행하고 코멘트를 적어주면 최종적으로 수정한 내역이 반영된다.



5. git log

   - 'git commit'을 실행하면 최종적으로 어떤 내용이 반영되었는지 알려준다.
   - git 에 반영된 내역들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git log'를 실행하면 볼 수 있다.




만약 여러개의 파일들을 수정하면 그것들을 일일이 하나씩 등록을 해야하는지,
변경한 것을 취소하고 싶을 때 어떻게 하는지 지금 상황에서 궁금한 것이 많겠지만,
차차 추가적으로 확인하도록 하자!!! (절대 지금 졸려서 그런 것 아니다!!! ^^)

반응형

'SCM >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Review - stage, add, commit  (0) 2012.01.19
Compare - modify (git diff, git log) 2/2  (0) 2012.01.18
Tracking file - ignoring  (0) 2012.01.15
Tracking file - add, status, commit  (0) 2011.11.30
File Status Lifecycle in GIT  (1) 2011.11.22

지난 번에 글을 올리고 너무 오래간만의 업데이팅이다.
사실 일주일에 2-3번 정도의 업데이팅을 하고 싶었는데... 반성해야겠다!

지난 번에는 새로운 파일을 git에게 알려주고 관리를 받기 위한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git에게 관리를 받지 않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1. git status

   - 샘플로 사용할 파일이 작업공간(Work Space) 위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 이 상태에서 'git status'를 하게 되면 untracked file이 존재하고 있다고 알려준다.



2. create [.gitignore]

   - ".gitignore" 파일을 생성하자.
   - 확장자가 "avi"인 파일들을 제외해보자.



3. git status

   - 다시 확인을 해보면 이번에는 untracked file이 변경되어서 나온다.
   - 이전에 있었던 "Sample.HDTV.Xvid-NoTV.avi" 파일이 사라지고,
   - 방금 만든 ".gitignore" 파일이 등장했다.



4. git add

   - 새로 생성한 [.gitignore] 파일도 또한 git 으로 관리를 해야한다.
   - git add .gitignore
   - git commit -m "add .gitignore"


5. .gitignore

   - git에게 관리하지 않을 것들에 대해서 알려주기 위한 ".gitignore"파일에 대한 문법을 알아보자.

      ▷ # 으로 시작하는 줄은 주석으로 간주한다 (빈 줄도 마찬가지로 무시한다)
      ▷ 표준 glob 패턴의 적용이 된다
      ▷ 제일 뒤에 "/" (forward slash) 를 붙이면 디렉토리로 간주한다
      ▷ "!"로 시작하는 것은 예외로 간주한다

01: # blahblah
02:
03: *.avi
04: !chani.avi
05: sample/
06: source/*.o

   → 01, 02 두 라인은 그냥 무시
   → 03라인은 확장자가 'avi'인 모든 파일을 관리하지 말라는 의미
   → 04라인의 의미는 03라인에서 모든 avi 파일을 관리하지 말라고 했지만, 'chani.avi'파일은 예외라는 의미
   → 05라인은 'sample' 디렉토리 밑의 모든 것들을 관리하지 말라는 의미
   → 06라인은 'source' 디렉토리 밑의 확장자가 'o'인 모든 파일을 관리하지 말라는 의미


[.gitignore] 파일은 보통 빌드를 하면서 생성되는 중간 산출물이나 최종 산출물들을
git에게 관리하지 말라고 알려주기 위해서 사용한다.

사실 별 것이 아닌 팁과 같은 느낌이지만, 이를 모르고 사용하지 않으면 상당히 귀찮은 경우가 많다.

부디 잘 사용하시길...

반응형

'SCM >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pare - modify (git diff, git log) 2/2  (0) 2012.01.18
Compare - modify (git diff, git log) 1/2  (0) 2012.01.17
Tracking file - add, status, commit  (0) 2011.11.30
File Status Lifecycle in GIT  (1) 2011.11.22
Repository 생성하기  (1) 2011.11.20


에고... 작년에 새로운 버전이 올라왔는데, 이제서야 내가 사용하는 버전을 업데이트 했다.


This is a maintenance release. The following items were fixed and/or added:

   • VMM: fixed VERR_MAP_FAILED during savestate under certain circumstances (bug #7929)
   • GUI: stop updating the VM status icons when the VM is paused (bug #8368)
   • VBoxManage: fixed wrong return code after startvm (bug #9642)
   • BIOS: fixed hang at launch of DOS applications generated by Clipper 5.3 (note that hardware virtualization may be required)
   • USB: fixed OS/2 boot hang when using recent USB drivers
   • NAT: increase maximum number of parallel connections making connections with port forwarding more robust (#8471)
   • Metrics: fixed potential problem with invalid access in guest metrics collection upon VM destruction
   • Main: don't crash if a medium is ejected twice (bug #9922)
   • VBoxSVC: fixed crash under rare circumstances (e.g. client crash)
   • VRDP: fixed screen freeze (bug #9620)
   • OVF/OVA: fixed broken disk images on import under rare circumstances
   • OVF/OVA: better error message when importing corrupted appliances
   • VMDK/VHD: fixed a possible corruption with host cache disabled when using snapshots under rare circumstances (bug #9749)
   • 3D Support: Fixed fullscreen mode issues for ATI graphics (bug #9775), Windows Media Player rendering for XPDM-based Direct3D support (bug #8341). Multiple fixes to XPDM and WDDM - based 3D support for Windows Guests and for 3D support in general
   • Linux hosts: fixes for Fedoras Linux 2.6.41 (bug #9948)
   • Linux hosts/guests: fixes for Linux 3.2 (bug #9743)
   • Solaris Additions: various shared folder fixes (bugs #9856, #9862, #9917)
   • Windows Additions: various fixes for Direct3D support (un)installation, added detection of missing or wrong Direct3D system files


화면이 얼어버리는 문제나 충돌 문제 등에 대해서 뭔가 해결을 했다고 하니... 일단 무조건 좋다~ ^^
특히 최근 나온 Linux 3.2 커널과 관련하여 뭔가를 고쳤다니 무조건 업데이트!!!

반응형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를 하나 만들어서 실행하여 보자.


이클립스를 실행 후,
[Window] - [AVD Manager]


[New] 클릭


각 개별 옵션들에 대한 설명은 다음 기회에 하기로 하고,
일단 위와 같이 설정을 하고 AVD를 만들어 보도록 하자.


위와 같이 만들어 준 후, [Start]


여기서도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 기회에 되면 하기로 하고,
일단은 '닥치고 런치!'


그런데, 이렇게 실행을 하면 화면이 나와야 하는데 BS(Black Screen)만 나왔다.

뭐가 문제일까...
이러한 경우 종종 권한으로 인한 문제로 발생하곤 한다.
즉, root 권한으로 실행을 하면 해결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열심히 구글링을 해본 결과,
에뮬레이터가 아니라 실제 기기를 USB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경우 root 권한 문제가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에뮬레이터 실행의 경우에는 root 권한 문제가 있다는 말은 별로 없었다.


일단은, 닥치고 root 권한으로 에뮬레이터 실행을 해봤다.

 $ sudo /srv/install/android/android-sdk-linux/tools/emulator-arm -avd Chani_2.2

제일 뒤의 Device 이름은 저 위에서 생성한 것의 이름이다.


에뮬레이터 쨘~

반응형

'잘난놈되기 > 안또라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튼을 더 추가해보기  (0) 2012.03.11
버튼을 추가해보기  (0) 2012.03.06
첫 소스 분석 - HelloAndroid  (0) 2012.03.05
여보세요!? 안또라이들!!!  (0) 2012.02.28
Android SDK 설치하기  (0) 2011.12.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