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영어 회화에 익숙해지고 싶어서 헐리우드 영화나 미드만 보다가
간만에 일어를 들어보고자 선택한 비교적 최근 일본영화


영어/일어 바보인 나는 영화제목을 바로 알아보지 못했다.



그래서 준비한
미리 알아두면 좋을 용어/단어

   . Butler : 집사(대저택의 남자 하인 중 책임자)
   . 번견 : a watchdog; a house dog. 집을 지키거나 망을 보는 개.





만화가 원작인 영화다.
2006년도 스퀘어에닉스의 잡지 '월간G판타지'에서 연재를 하고
연재를 하다가 유명해지니 단행본이 나오고
단행본이 유명해지니 애니메이션이 나오고
애니메이션이 유명해지니 2기까지 나오고
그러다가 영화까지 나왔다.
말 그대로 대박!

뮤지컬로도 나오고, 책으로도 나오고,
심지어 닌텐도DS 게임으로까지 나왔다는 것은 덤으로~



원작자는 Yana Toboso (枢 やな Toboso Yana. born January 24, 1984)이다.
올해 한국 나이로 31살 먹은 일본 여성 만화가인데,
2006년도에 스퀘어에닉스의 잡지에서 "Rust Blaster"라는 작품으로 등단을 했다고 한다.

그 작품 역시 뱀파이어와 사람이 나오는 만화였다고 한다.
흑집사는 악마가 나오고.... 이 작가는 이런걸 좋아하나보다.

그런데, 많이 찾아보진 못했지만 등단한 작품 외에는
흑집사 밖에 안보인다..... 하나로 뽕을 뽑고 있나?!



애니메이션은 2008년도에 1기가 시작을 했다.
25분 분량으로 24화로 구성되었는데,
특이한 것은 등급이 BA-17 이다.
즉, 17세 이상 등급인 것이다.

흑집사 2기는 2010년도에 방영을 하였고,
흑집사 3기는 2014년 7월부터 방영을 시작한다고 한다.



이번에는 남자 주인공을 살펴보자.
Hiro Mizushima (水嶋 ヒロ,  1984)는 2005년 고쿠센 2기의 조연으로 데뷔를 했다.
조연이라고는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인상이 깊은 캐릭터였다.

2009년까지는 드라마 위주로 활발히 활동을 하다가
2010년 부터는 책도 쓰고 뮤직비디오 연출도 하고 출연도 하고
다른 일을 많이 하고 있는 것 같다.




여자 주인공은 개인적으로 참 좋아하는
Ayame Goriki (剛力 彩芽, 1992)는 태국어머니와 일본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아가씨로
초등학교 때 본인이 모델이 되고 싶어서 연예계에 뛰어들었다고 한다.

2007년부터 드라마에 출연을 시작했지만,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2011년 '소중한 것은 전부 네가 가르쳐 주었어' 출연하면서 부터라고 한다.
이 때부터 숏커트 머리를 했단다.

'고리키'라는 성은 일본에서 8가구만 남은 희귀 성씨라고 한다.

개인적으로
2012년 후지TV의 "미래일기 -ANOTHER:WORLD" 드라마에서의
캐릭터가 가장 마음에 들었다!







이제 영화 이야기를 해보겠다.

일단 애니메이션과는 약간의 설정이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
(영화보자마자 애니메이션 구해서 1편부터 보기 시작했다)

우선 시대적 배경이 애니메이션에서는 중세 귀족 시대를 표방하고 있는 듯 하지만,
영화에서는 현대 시대 또는 약간의 미래 시대를 표방하고 있다.

그리고 흑집사의 성격도 애니메이션에서는
보다 더 집사의 업무에 충실하고 따뜻한 성격으로 유순해 보이는 반면,
영화에서는 조금 더 악마의 본연의 모습에 충실하고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도 음악이 멋지게 나오는데,
영화에서는 조금 더 중후하고 웅장하게, 더 분위기 있게 나온다.

아! 어디까지나 지금 흑집사 1기의 3편 정도까지 보고 있는 상황에서 작성하고 있는 내용이다.

아! 그리고 애니메이션에서의 저택보다 영화에서의 저택이 훨씬 더 크고 멋지다.


애니메이션의 후반부에 나올 이야기인지는 모르겠지만,
영화의 도입부에서 설명을 하고 있는 제국과 동측 제국 사이의 관계,
그리고 '여왕의 개(번견)'이라는 설정 등에 대해서는
애니메이션 초반엔 나오지 않고 있다.



분위기는 약간 무겁고, 중후하고, 웅장하게 표현을 하고 있지만
그냥 가볍게 킬링타임용으로 볼만하다.

애니메이션을 보고 나서 영화를 봤다면 더 재미있을 것 같기는 하지만,
배경지식 없이 그냥 영화만 봐도 충분히 볼만한 것 같다.

남주와 여주, 그리고 가정부 3명 정도의 캐릭터로 만들어진 영화다.

그 外에 많은 것을 기대하지는 말자.


아! 그리고 이 영화의 특징 중 하나는,
일본말 잘하는 외국인 배우들을 엄청 많이 볼 수 있다.
좀 특이한 경험!?




7월에 3기 애니메이션도 나온다고 하니,
만화, 애니메이션, 뮤지컬, 영화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즐겨보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한다.


킬링타임용으로 추천!


IMDb   평점 : 6.20
네이버 평점 : 6.32
나만의 평점 : 6.99


Naver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15323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Black_Butler
IMDb - Internet Movie Database
http://www.imdb.com/title/tt2630336/
Facebook
https://www.facebook.com/Kuroshitsuji.Live

[출처]
* 포스터 및 스크린샷은 공식 페이스북에서 퍼왔음을 밝힙니다.
(영화 관련 저작권 괴담은 무서워요~)
[ 주의 사항 ]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영화평을 적는 공간이니만큼,
개인의 취향은 존중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건전한 비판이나 조언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반응형

도구 성능 테스트를 위해서 용량이 큰 파일이 필요한데,
마땅히 구할 방도가 없어서 고민하던 중 필요한 사이즈의 더미 파일을 만들어 볼 생각을 해봤다.

그랬더니, 이와 같은 고민을 하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러한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제공해주고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 dd if=/dev/zero of=[filename] bs=[blocksize] count=[repeat]

 실제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다.

$ dd if=/dev/zero of=./test bs=100M count=2

위와 같이 하면 200M 크기의 test라는 이름의 파일이 생성된다.


count의 용도는 다음과 같다.

$ dd if=/dev/zero of=./10G bs=10G count=1
dd: memory exhausted by input buffer of size 10737418240 bytes (10 GiB)

10GB짜리 파일 하나를 만들려고 하는데 10GB x 1 count로 만들면 위와 같이 메모리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 dd if=/dev/zero of=./10G bs=1G count=10
10+0 레코드 들어옴
10+0 레코드 나감
10737418240 바이트 (11 GB) 복사됨, 74.6861 초, 144 MB/초

그런데, 위와 같이 1GB 짜리를 10번 반복해서 만들라고 하면 된다!
이러한 것을 잘 이용하면 더 멋지게 컴퓨터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HDD를 물리적으로 추가하였는데, Ubuntu에서 자동으로 붙지 않는다.
USB 같은 것은 자동으로 잘 잡아주면서... 이거 왠지 사용자 친화적이지 않다.

그래서, CLI로 추가 작업을 진행해주어야 한다.


1. HDD 잘 인식하는지 확인하기

   - HDD 관련 작업은 fdisk 명령어로 대부분 처리할 수 있다.

$ sudo fdisk -l

Disk /dev/sda: 53.7 GB, 53687091200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6527 cylinders, total 104857600 sectors
Units =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00089aab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a1   *        2048   100663295    50330624   83  Linux
/dev/sda2       100665342   104855551     2095105    5  Extended
/dev/sda5       100665344   104855551     2095104   82  Linux swap / Solaris

Disk /dev/sdb: 214.7 GB, 214748364800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26108 cylinders, total 419430400 sectors
Units =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00000000

Disk /dev/sdb doesn't contain a valid partition table

   - /dev/sda 는 잘 연결되어 있고, /dev/sdb는 물리적으로만 잘 붙어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친절히 제일 마지막 줄에 파티션 테이블도 안만들어져 있다고 알려주고 있다.


2. 파티션 작업

   - 앞에서 찾아낸 작업해야할 HDD를 지정해서 파티션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 sudo fdisk /dev/sdb
Device contains neither a valid DOS partition table, nor Sun, SGI or OSF disklabel
Building a new DOS disklabel with disk identifier 0xb9110add.
Changes will remain in memory only, until you decide to write them.
After that, of course, the previous content won't be recoverable.

Warning: invalid flag 0x0000 of partition table 4 will be corrected by w(rite)

Command (m for help): n
Partition type:
   p   primary (0 primary, 0 extended, 4 free)
   e   extended
Select (default p): p
Partition number (1-4, default 1): 1
First sector (2048-419430399, default 2048): (enter)
Using default value 2048
Last sector, +sectors or +size{K,M,G} (2048-419430399, default 419430399): (enter)
Using default value 419430399

Command (m for help): p

Disk /dev/sdb: 214.7 GB, 214748364800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26108 cylinders, total 419430400 sectors
Units =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identifier: 0xb9110add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b1            2048   419430399   209714176   83  Linux

Command (m for help): w
The partition table has been altered!

Calling ioctl() to re-read partition table.
Syncing disks.

   - 각자의 상황에 따라 위와 같이 출력되지 않거나 다른 옵션을 선택해야할 경우도 있을 것이다.
   - 일단은 필자의 상황으로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다양한 옵션에 대한 설명은 생략!


3. 포맷

   - 파티션 작업을 했다고 바로 사용할 수는 없다. 포맷을 하고 사용해야 한다. 파일시스템을 만들어주는 과정이다.

$ sudo mkfs.ext4 /dev/sdb1
mke2fs 1.42.9 (4-Feb-2014)
Filesystem label=
OS type: Linux
Block size=4096 (log=2)
Fragment size=4096 (log=2)
Stride=0 blocks, Stripe width=0 blocks
13107200 inodes, 52428544 blocks
2621427 blocks (5.00%) reserved for the super user
First data block=0
Maximum filesystem blocks=4294967296
1600 block groups
32768 blocks per group, 32768 fragments per group
8192 inodes per group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 2654208,
 4096000, 7962624, 11239424, 20480000, 23887872

Allocating group tables: done                           
Writing inode tables: done                           
Creating journal (32768 block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 ext4가 아닌 다른 파일시스템을 사용할 사람은 바꾸면 된다.


4. UUID 확인

   - 앞에서 붙인 HDD를 다루기 위해서는 고유의 값인 UUID를 알아야 한다.

$ ls -l /dev/disk/by-uuid/
합계 0
lrwxrwxrwx 1 root root 10  6월 22 18:22 29f6905f-be40-4321-b7c0-7658f2cb4c3e -> ../../sdb1
lrwxrwxrwx 1 root root 10  6월 22 18:06 822b2062-39d1-4ba3-ab4d-fdc332fec050 -> ../../sda5
lrwxrwxrwx 1 root root 10  6월 22 18:06 94200076-d0b4-4dea-97d4-ee5bedc01bf5 -> ../../sda1


5. mount 등록

   - 방금 만든 파티션은 지금 접근해서 사용할 수는 없다. 파티션을 마운트(mount) 해주어야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 하지만, 한 번만 사용할 것이 아니라 매번 부팅할 때마다 마운트 되는 것이 필요하다.

$ sudo mkdir /srv/repository

   - 마운트 하고자 하는 경로의 디렉토리를 미리 만들어 두자.

$ sudo nano /etc/fstab

...
UUID=29f6905f-be40-4321-b7c0-7658f2cb4c3e       /srv/repository ext4    errors=remount-ro       0       1

   - 부팅 時 자동으로 마운트할 내용을 위와 같이 적어주면 된다.

$ sudo mount -a

   - 재부팅하지 않아도 마운트 시킬 수 있다.

$ sudo chown hp14:hp14 /srv/repository

   - 권한은 마운트 뒤에 설정해주면 적용된다.


6. 확인

   - 잘 붙었는지 확인해보자.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1        48G       11G     35G     24%     /
none               4.0K          0     4.0K      0%      /sys/fs/cgroup
udev               991M     4.0K    991M     1%      /dev
tmpfs              201M     900K    200M    1%      /run
none               5.0M          0     5.0M    0%      /run/lock
none             1002M       76K   1001M   1%      /run/shm
none              100M        40K    100M   1%      /run/user
/dev/sdb1       197G       60M    187G   1%      /srv/repository



여기까지 하면 끄~~읕


반응형

윈도우7을 사용하게 되면서,
(최근까지 XP만 사용한 고리타분한 주인장^^) 정말 신경쓰이게 거슬리는 것이 하나 있었다.


사용하지 않을, 설치하지 않을 선택적 업데이트 목록이 자꾸 눈에 보이는 것이다.
매일 업데이트를 확인해서 설치를 해야 직성이 풀리는 최신병 환자로써 정말 신경쓰인다!!!

안보이게 하기는 정말 쉽다.


설치하기 싫은 언어팩들을 선택해서(체크박스가 아니다!),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눌러 메뉴에 나오는 [업데이트 숨기기]를 선택하면 된다.


필요한 업데이트만 보인다!

하아~ 손에 박힌 쪼꼬만 가시를 쏙~ 뽑아낸 기분이다.


반응형

기본 한글입력기인 ibus를 사용하는 것은 왠지 불편하다.
그래서 대중적인, 리눅스를 사용하는 한국인이라면 왠지 다 알고 있어야 할 것 같은 nabi를 사용하곤 한다.

설치는 정말 쉽다.

sudo apt-get install nabi

그런 다음 [설정] - [언어 지원] - [키보드 입력기]를 선택하면 된다.


"Hangul"로 설정하고 나서 로그아웃/로그인 또는 재부팅을 하면 다음과 같은 팝업을 볼 수 있다.


이제는 편하게 한글을 사용하면 되긴 하는데... 여기에서 이슈는 저 팝업창을 없애버리고 싶은 충동이다!

12.04 버전까지만해도 시스템트레이로 옮기기를 하면 되었느데,
최근에는 이러한 기능을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는다. 지원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막았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사실 이는 Ubuntu 측에서 지원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을 지원하는 것이고,
새로운 방식을 nabi가 지원하지 않는다라는 것이 더 정확한 대답일 것이다.


물론 우리의 뛰어난 리눅서분들은 이러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들을 만들어내었다.
그런데, 좀 문제가 있는 것이... 기존 패키지 내용을 패치하는 방식을 통해서 해결을 하고 있는 것이다.
PPA 추가를 통해서 제공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패치를 하는 것이다 보니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지에 대해서 보장을 할 수가 없다.


깔끔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IBus 방식을 사용하던지 아니면
그냥 위와 같이 별도의 팝업으로 뜨도록 내버려두는 것을 권장한다.

반응형


1. JDK 설치

   - http://whatwant.tistory.com/660


2. PostgreSQL 설치

$ sudo apt-get install postgresql



3. Apache

   - Proxy 기능이 필요하므로 해야할 일이 조금 더 있다.

$ sudo apt-get install apache2 libapache2-mod-proxy-html

$ sudo a2enmod proxy
$ sudo a2enmod proxy_http
$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4. Git

   - http://whatwant.tistory.com/658


5. Download

   - 최근 사이트가 변경되면서...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페이지 등의 호환성에서 IE는 잘 안되는 경우가 있다.
   - 다운로드는 잘 되니 그냥 아래와 같이 수행하면 된다.



6. DB 계정 및 db 생성

$ sudo su - postgres

$ createuser -A -D -P -E gerrit2
$ createdb -E UTF-8 -O gerrit2 reviewdb

$ exit


7. Gerrit 운영 계정 생성

$ cd /srv/install/gerrit

$ sudo adduser gerrit2
$ sudo chown -R gerrit2:gerrit2 /srv/install/gerrit/


8. 설치하기

$ sudo su gerrit2
$ cd /srv/install/gerrit

$ java -jar ./gerrit-2.8.4.war init -d /srv/install/gerrit/workspace

 

*** Gerrit Code Review 2.8.4
***

Create '/srv/install/gerrit/workspace' [Y/n]?  (Enter)

*** Git Repositories
***

Location of Git repositories   [git]: repositories

*** SQL Database
***

Database server type           [h2]: postgresql
Server hostname                [localhost]: (Enter)
Server port                    [(POSTGRESQL default)]: (Enter)
Database name                  [reviewdb]: (Enter)
Database username              [gerrit2]: (Enter)
gerrit2's password             : (passwd)
              confirm password : (passwd)

*** User Authentication
***

Authentication method          [OPENID/?]: http
Get username from custom HTTP header [y/N]? (Enter)
SSO logout URL                 : (Enter)

*** Email Delivery
***

SMTP server hostname           [localhost]: smtp.gmail.com
SMTP server port               [(default)]: 587
SMTP encryption                [NONE/?]: (Enter)
SMTP username                  [gerrit2]:  xxx@gmail.com
   @gmail.com's password  : (passwd)
              confirm password : (passwd)

*** Container Process
***

Run as                         [gerrit2]: (Enter)
Java runtime                   [/usr/local/java/jdk1.7.0_55/jre]: (Enter)
Copy gerrit-2.8.war to /srv/install/gerrit/workspace/bin/gerrit.war [Y/n]? (Enter)
Copying gerrit-2.8.war to /srv/install/gerrit/workspace/bin/gerrit.war

*** SSH Daemon
***

Listen on address              [*]: (Enter)
Listen on port                 [29418]: (Enter)

Gerrit Code Review is not shipped with Bouncy Castle Crypto v144
  If available, Gerrit can take advantage of features
  in the library, but will also function without it.
Download and install it now [Y/n]? (Enter)
Downloading http://www.bouncycastle.org/download/bcprov-jdk16-144.jar ... OK
Checksum bcprov-jdk16-144.jar OK
Generating SSH host key ... rsa... dsa... done

*** HTTP Daemon
***

Behind reverse proxy           [y/N]? (Enter)
Use SSL (https://)             [y/N]? (Enter)
Listen on address              [*]: (Enter)
Listen on port                 [8080]: (Enter)
Canonical URL                  [http://chani-VBox:8080/]: http://localhost:8080/

*** Plugins
***

Install plugin reviewnotes version v2.8.4 [y/N]? y
Install plugin download-commands version v2.8.4 [y/N]? y
Install plugin replication version v2.8.4 [y/N]? y
Install plugin commit-message-length-validator version v2.8.4 [y/N]? y

Initialized /srv/install/gerrit/workspace
Executing /srv/install/gerrit/workspace/bin/gerrit.sh start
Starting Gerrit Code Review: OK
Waiting for server on localhost:8080 ... OK
Opening http://localhost:8080/#/admin/projects/ ...No protocol specified
No protocol specified
OK

     - 나중에 설정 내용은 변경할 수 있으므로 최대한 기본값으로 정했다.


9. Apache Configuration

$ sudo su gerrit2

$ htpasswd -c /srv/install/gerrit/workspace/etc/passwords "admin"

$ exit

 

$ sudo nano /etc/apache2/sites-available/gerrit2

 

<VirtualHost *:8080>
        ServerName localhost

        ProxyRequests Off
        ProxyVia Off
        ProxyPreserveHost On

        <Proxy *>
                Order deny,allow
                Allow from all
        </Proxy>

        <Location /login/>
                AuthType Basic
                AuthName "Gerrit Code Review"
                Require valid-user
                AuthUserFile /srv/install/gerrit/workspace/etc/passwords
        </Location>

        AllowEncodedSlashes On
        ProxyPass / http://127.0.0.1:8081/ nocanon

</VirtualHost>


     - 추가로 sites-enabled 디렉토리에 동적링크도 만들어주자.

$ cd /etc/apache2/sites-enabled
$ sudo ln -s ../sites-available/gerrit2 ./001-gerrit2


     - 위와 같이 설정을 하였으면 Apache의 port 설정에도 추가해줘야 한다.

$ sudo nano /etc/apache2/ports.conf


NameVirtualHost *:8080
Listen 8080


     - 위와 같이 8081 포트에 대해서 설정을 추가로 적어주면 된다.

$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 gerrit 의 설정값도 다시 한 번 살펴봐야 한다.

$ sudo su gerrit2

$ nano /srv/install/gerrit/workspace/etc/gerrit.config


[gerrit]
        basePath = repositories
        canonicalWebUrl = http://localhost:8080/
[database]
        type = postgresql
        hostname = localhost
        database = reviewdb
        username = gerrit2
[auth]
        type = HTTP
[sendemail]
        smtpServer = smtp.gmail.com
        smtpServerPort = 587
        smtpUser = xxx@gmail.com
[container]
        user = gerrit2
        javaHome = /usr/local/java/jdk1.7.0_55/jre
[sshd]
        listenAddress = *:29418
[httpd]
        listenUrl = proxy-http://127.0.0.1:8081/
[cache]
        directory = cache

 

$ sudo su gerrit2

$ cd /srv/install/gerrit/workspace/
$ ./bin/gerrit.sh restart


     - [ http://localhost:8080 ] 주소로 접속을 하면 위와 같이 이름과 암호를 물어본다.
     - 앞에서 "htpasswd"로 만든 계정을 이용해서 로그인하면 된다.


     - 드디어 길고 긴 과정을 거쳐서 gerrit의 화면이 나왔다.



9. 후기

     - 최근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Gerrit에 대해서 활용팁(?) 등을 많이 얻었는데,
       집에서 테스트 해보기 위해 우선 예전 설치 방식으로 설치를 다시 한 번 진행해보았다.
     - 앞으로 Gerrit과 관련된 다른 내용을 추가해보도록 하겠다.

반응형

GitLab에서는 E-mail을 기반으로 사용자 관리가 이루어진다.

특히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할 때 패스워드를 바로 설정하지 않는다.
임시 패스워드를 등록된 이메일 주소로 발송을 해주게 된다.

이 때, GitLab에 smtp 셋팅이 안되어 있으면 난감하다.
그래서 일단 급한대로 Gmail을 smtp로 셋팅하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물론 Gitlab에서는 친절히 직접 설명을 해주고 있다.
   - https://gist.github.com/xavierjurado/3138813

$ sudo su - git
$ cd /home/git/gitlab/
$ nano ./config/environments/production.rb

다음의 내용을 수정 및 추가하자.

  config.action_mailer.delivery_method = :smtp
  config.action_mailer.perform_deliveries = true
  config.action_mailer.raise_delivery_errors = true

  config.action_mailer.smtp_settings = {
     :address              => "smtp.gmail.com",
     :port                 => 587,
     :domain               => 'gmail.com',
     :user_name            => 'whatwant@gmail.com',
     :password             => 'xxx',
     :authentication       =>  :plain,
     :enable_starttls_auto => true
  }

발신자 정보도 셋팅을 해야한다.

$ nano ./config/gitlab.yml

    ## Email settings
    # Email address used in the "From" field in mails sent by GitLab
    email_from: whatwant@gmail.com


이제 GitLab만 재시작 하면 된다.

$ exit
$ sudo /etc/init.d/gitlab restart



이렇게 하면 이메일 발송 기능은 잘 동작하지만,
서버 주소 등에 있어서는 집에서 혼자 설치해서 사용하기에 좀 신경써야 하는 점은 귀찮다.

반응형

GitHub는 무료로 서비스를 해주지만, 해당 서비스를 내 서버에서 운영할 수는 없다.
물론 돈을 주면 가능하긴 하다지만... 저렴한 인생으로써는...^^

그래서 찾아보던 중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진행중인 GitLab을 알게 되었다.
설치 과정이 단순하진 않지만... 나만의 GitHub 구축을 위해서 !!!


공식 홈페이지에 설치 가이드가 너무나 잘 나와 있다.
   - https://github.com/gitlabhq/gitlabhq/blob/master/doc/install/installation.md


앞에서 작성한 포스트를 참고해도 좋다.
   - http://whatwant.tistory.com/332



01. 필수 패키지 설치

$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zlib1g-dev libyaml-dev libssl-dev libgdbm-dev libreadline-dev libncurses5-dev libffi-dev curl openssh-server redis-server checkinstall libxml2-dev libxslt-dev libcurl4-openssl-dev libicu-dev logrotate python-docutils



02. Git 설치

   - http://whatwant.tistory.com/658


03. Ruby 설치

$ sudo su -
$ curl -L https://get.rvm.io | sudo bash -s stable
$ source /etc/profile
$ rvm install 2.0.0
$ rvm use 2.0.0
$ rvm --default use 2.0.0 

 

$ nano /etc/environment

 

PATH="......:/usr/local/rvm/bin"

 

$ gem install bundler --no-ri --no-rdoc



04. 계정 만들기

$ adduser --disabled-login --gecos 'GitLab' git



05. GitLab-Shell 설치하기

$ cd /home/git

$ sudo -u git -H git clone http://github.com/gitlabhq/gitlab-shell.git -b v1.7.9

$ cd gitlab-shell

$ sudo -u git -H cp config.yml.example config.yml
$ sudo -u git -H nano config.yml

 

...
gitlab_url: "http://localhost/"
...

 

$ sudo su - git
$ cd /home/git/gitlab-shell
$ ./bin/install



08. Database

   - 필자의 취향으로 일단 PostgreSQL로 진행해보자.

$ sudo apt-get install postgresql libpq-dev

$ sudo -u postgres psql -d template1

 

# CREATE ROLE git LOGIN ENCRYPTED PASSWORD 'password' NOINHERIT VALID UNTIL 'infinity';
# CREATE DATABASE gitlabhq_production OWNER git;
# \q


   - 접속이 잘 되는지 테스트 함 해보자.

$ sudo -u git -H psql -d gitlabhq_production



09. GitLab 다운로드

$ cd /home/git
$ sudo -u git -H git clone https://github.com/gitlabhq/gitlabhq.git -b 6-3-stable gitlab

 


10. GitLab 환경 설정

$ cd /home/git/gitlab

$ sudo -u git -H cp config/gitlab.yml.example config/gitlab.yml


   - 도메인을 지정하고 싶으면 다음처럼 수정 작업을 하면 된다.

$ sudo -u git -H nano config/gitlab.yml


...
   host: localhost
...


   - 권한 조정이 필요하다.

$ sudo chown -R git log/
$ sudo chown -R git tmp/
$ sudo chmod -R u+rwX  log/
$ sudo chmod -R u+rwX  tmp/


   - satellites를 위한 디렉토리를 하나 생성하고, 필요한 디렉토리를 만들자.

$ sudo -u git -H mkdir /home/git/gitlab-satellites


   - 필요한 디렉토리를 추가로 더 만들자.

$ cd /home/git/gitlab

$ sudo -u git -H mkdir tmp/pids/
$ sudo -u git -H mkdir tmp/sockets/
$ sudo chmod -R u+rwX  tmp/pids/
$ sudo chmod -R u+rwX  tmp/sockets/

$ sudo -u git -H mkdir public/uploads
$ sudo chmod -R u+rwX  public/uploads


   - 엄청 귀찮넹... 스크립트로 만들어서 제공하지....

   -  Unicorn 환경 설정을 진행하자.

$ sudo -u git -H cp config/unicorn.rb.example config/unicorn.rb


   - 고성능이 필요하면 cluster mode를 활성화 하자. 방법은 간단하다 ?!

$ sudo -u git -H nano config/unicorn.rb


   - worker_processes를 3으로 변경하면 된다 ?!

...
worker_processes 2
...


   - 이번에는 Rack attack config를 진행하자.

$ sudo -u git -H cp config/initializers/rack_attack.rb.example config/initializers/rack_attack.rb


   - rack attack middleware를 설정하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하자.

$ sudo -u git -H nano config/application.rb


   - 주석처리된 부분을 찾아서 주석 표시를 지우면 된다고 한다. (뭘 하는지는 아직 모르겠다.)

...
   # config.middleware.use Rack::Attack
...



11. 기본 사용자 설정

   - Git 사용자 설정을 하자.

$ sudo -u git -H git config --global user.name "GitLab"
$ sudo -u git -H git config --global user.email "gitlab@whatwant.com"
$ sudo -u git -H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input


   - 위 설정은 다음의 설정에서도 적용이 필요하다.

$ sudo -u git -H nano config/gitlab.yml



12. Database 환경 파일 설정

   - PostgreSQL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 sudo -u git cp config/database.yml.postgresql config/database.yml


   - git 계정에서만 읽어볼 수 있게 하기 위한 권한 설정을 하자.

$ sudo -u git -H chmod o-rwx config/database.yml



13. Install Gems

$ sudo su - git
$ cd /home/git/gitlab
$ bundle install --deployment --without development test mysql aws



14. Database 생성

$ sudo su - git
$ cd /home/git/gitlab
$ bundle exec rake gitlab:setup RAILS_ENV=production


   - 설치과정 끝에 나오는 메시지를 잘 확인해야 한다.

...
Administrator account created:

login............admin@local.host
password.....5iveL!fe



15. Init Script 설정하기

$ cd /home/git/gitlab
$ sudo cp lib/support/init.d/gitlab /etc/init.d/gitlab
$ sudo chmod +x /etc/init.d/gitlab
$ sudo update-rc.d gitlab defaults 21



16. log 관리하기

$ sudo cp lib/support/logrotate/gitlab /etc/logrotate.d/gitlab



17. 환경 설정이 잘 되었는지 점검

   - 환경 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을 해야하는데...
   - 우선 우리는 기본 설정값과 다른 git 경로부터 수정하고 확인을 하자.

$ sudo -u git nano config/gitlab.yml

 

...
git:
   bin_path: /usr/local/bin/git
...


   - git 경로를 제대로 적어주고나서 환경 설정 값들을 확인해보자.
 

$ sudo su - git
$ cd /home/git/gitlab
$ bundle exec rake gitlab:env:info RAILS_ENV=production

 


18. 시작

   - 이후 부터는 재부팅 될 때 자동으로 실행이 되겠지만, 지금은 직접 한 번 실행을 해보자.

$ sudo service gitlab start

 

Starting the GitLab Unicorn web server...
Starting the GitLab Sidekiq event dispatcher...
The GitLab Unicorn webserver with pid 1478 is running.
The GitLab Sidekiq job dispatcher with pid 1506 is running.
GitLab and all its components are up and running.



19. 상태 점검

   - green으로 나오면 좋은 것이다 ^^

$ sudo su - git
$ cd /home/git/gitlab
$ sudo -u git -H bundle exec rake gitlab:check RAILS_ENV=production



20. Nginx


http://tuwlab.com/10476
http://kkame.kr/106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elltin&logNo=90184174945

   - 개인적으로 Apache2의 대용품(?)으로 좋아하다가 요즘은 살짝 관심을 끊은 Nginx ... ^^
   - GitLab은 공식적으로 웹서버로 Nginx를 추천한다고 한다.

$ sudo apt-get install nginx


   - 설정도 진행을 하자.

$ sudo cp lib/support/nginx/gitlab /etc/nginx/sites-available/gitlab
$ sudo ln -s /etc/nginx/sites-available/gitlab /etc/nginx/sites-enabled/gitlab


   -  수정할 것도 있다.

$ sudo nano /etc/nginx/sites-available/gitlab

 

...
   server_name localhost;
...


   - 재시작 !

$ sudo service nginx restart



21. 사이트 테스트

   - [ http://localhost/ ] 접속


   - ID / Password = [ admin@local.host / 5iveL!fe ]


   - 패스워드 재설정 창이 나온다.
   - 여기에서 재설정을 하면 다시 로그인 창이 나온다. 다시 로그인을 하면 된다.


   - 드디어 제대로 된 화면이 나왔다 !!!



헥헥... 너무 힘들다.... 이거, 반드시 스크립트 제공해줘야 한다 !!!

여하튼 일단 페이지 빵! 뜨는 것 까지는 성공~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