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X 3D로 꼭 보고 싶었던 영화였지만, 그냥 2D로 감상해버린... 좀 아쉬운 영화~~~



LED 띠를 두른 타이즈를 입고 있는 모습이 아주 강렬한 영화 포스터다!
대체 저 둥그런 놈은 뭘까? 아주 궁금했는데... "디스크"란다.


흥행 성적은 의외로 더블 장사를 넘게 했다~!!


많은 영화 감상평이
"CG는 훌륭하지만, 스토리는 심플"
하다는 의견이 많아서, 흥행성적이 안좋을줄 알았다.


1982년 작품의 리메이크라고 한다.
원작을 보면 캐드 또는 3DMAX 실습작품 수준의
그래픽이 조금 우스워보이긴 하지만,
1982년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정말 놀라운 수준의 작품이라고 한다.
기회가 되면 찾아서 봐야겠다.


원작도 그렇고, 리메이크작도 그렇고 '월트 디즈니'의 작품이다보니,
그 특성이 그대로 나타난다.
권선징악!
심플!



감독인 '조셉 코신스키 (Joseph Kosinski)'는 1974년 아저씨인데,
이번 영화가 데뷔 작품이라고 한다!
미국 CF 등의 작업을 했었는데, 뛰어난 CG로 유명했다고 한다.

'조셉 코신스키'는 이 '트론'이라는 영화로 유명세는 충분히 탔고,
'톰 크루즈'가 주연을 하기로 한 '오블리비언'이 2013년도에 나올 예정이라고
또 계속 유명세를 이어가고 있다.

2005년도에 쓰여진 그래픽 노블 '오블리비언'이 그 원작인데,
애초 월트 디즈니에서 그 판권을 샀지만,
아가들도 볼 수 있는 가족 영화를 추구하는 방침과 맞지 않는
등급 판정으로 인해 디즈니에서 판권을 넘겼고,
'유니버설 픽쳐스'에서 넘겨받아 진행중이라고 한다.
2013년 4월 중으로 나올 예정이라니...
1년 남았다.

그런데, 그 오블리비언이 그 유명한 게임 오블리비언과 관련이 있나....?
궁금했는데, 스토리가 전혀 틀리다 ^^


머 여하튼, 아직 초짜 감독 아저씨다!

개인 홈페이지도 있다.
http://josephkosinski.com/

이력의 99%는 'TRON: Legacy' ^^





주연인 '제프 브리지스 (Jeff Bridges)'는 1인 2역을 맡았다.
그냥 아빠, 그리고 아빠 클론!

재미있는 것은 1982년 원작에서도 나왔던 배우라는...^^

'제프 브리지스'는 아버지도, 형도 배우인 배우가족이다.
생후 4개월 때부터 출연을 했던 뼛속까지 배우이고...
주연으로 나왔던 영화가 부지기수이다.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영화는
'아이언맨', '와일드 빌', '베니싱', '터커', '킹콩'
정도가 되겠다.





여자 주인공은 있지만, 뭐 별다른 비중도 없어보이고...
일명 '사이렌 #2, #3, #4' 역할을 하는 여인네들이 더 예쁘다.
주인공이 처음에 '사이버 월드(?)'에 들어왔을 때
장비 챙겨주는... 하연 옷이 찰싹 붙어서... ^^



스토리는 어떻게 보면 정말 심플한데,
IT로 밥 먹고 사는 입장에서는
조금 참신하게 느껴진 부분이 꽤 많다.
그렇다고는 해도
메인이 되는 갈등 구조가 정말 너무 식상하다는...


TRON의 트레이드 마크인 대결씬...
특히 오토바이 타고 달리면서 지나간 자취로 상대방을 무찌르는... 뛰어난 영상미!!

2인용 스네이크 게임이라고 생각하면 딱 맞을 것 같다.
지나간 자취의 옆에 부딪치면 죽는...


복잡한 화면이 아닌,
'사이버 일렉트릭'
이라는 단어가 딱 떠오르는 그런 영상,
그리고 그 배경 음악!




킬링타임용으로는 넘칠 정도의 영화!
하지만, 뭔가 진지하고 뭔가 배우길 원한다면 비추!
IT 관련인이라면 한 번 보길 권하는 영화!




IMDb   평점 : 6.90
네이버 평점 : 7.14
나만의 평점 : 6.78


Naver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72357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Tron:_Legacy
IMDb - Internet Movie Database
http://www.imdb.com/title/tt1104001/

[출처]
* 포스터 및 스크린샷은 위키피디아에서 퍼왔음을 밝힙니다.
(영화 관련 저작권 괴담은 무서워요~)
[ 주의 사항 ]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영화평을 적는 공간이니만큼,
개인의 취향은 존중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건전한 비판이나 조언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반응형

예전에 포스팅 하다가 중간에 그만둔 것이 있어서 부활시킨다~~~

-------------------------------------------------------------------------------------------

가상PC를 위해서 사용하는 SW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누구나 알듯이 VMWare이다.
하지만, 알다시피 VMWare는 상용 SW 이다.

물론 VMWare Player를 이용하여 사용하면 되기는 하지만,
이미지 생성 등이 아닌 말 그대로 이미 있는 이미지를 실행만을 할 수 있는 제한된 제품이다.


VirtualBox의 경우에는 회사에서 사용을 할 수 있는 라이선스이다.

   - https://www.virtualbox.org/wiki/Licensing_FAQ

위 사이트를 보다보면 아래와 같은 문구가 있다.

   "if you install it on your work PC at some large company, this is still personal use."

즉, 회사에서 사용을 하더라도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을 하면 문제가 없단다!
제가 잘못 이해를 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뭐, 여하튼 최근에는 개인적으로
성능상으로 큰 문제도 없고, 사용하는데 라이선스 문제도 없는 VirtualBox를 좋아한다.




가상PC를 사용하면서 자주 이슈가 되는 것 중 하나가 "포트 포워딩"이다.

VirtualBox에서 포트포워딩을 하는 방법을 검색해보면,
과거의 옛날 방법만 나와 있어서 최근 버전에서의 비교적 편한 포트 포워딩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게스트PC의 설정에서 '네트워크' 부분을 그냥은 위와 같은 화면이 보이지 않을 것이다.
중간에 보이는 "고급"을 누르면 짠~


위의 설정에서 호스트PC의 몇 번 포트로 들어오는 것을 게스트PC의 몇 번 포트로 매핑할 것인지를 적어주면 된다.


오른쪽의 [+] 마크를 눌러주고 주르륵 적어주면 되는데, 샘플로 "HTTP" 포트를 포워딩 해줘보자.

 


"호스트 IP"를 적어주어야 하는데, 일반적인 경우 꼭 적어주지 않아도 된다.
"게스트 IP" 역시 마찬가지로 적지 않아도 된다.

위와 같이만 적어주고 확인을 누른 다음에 "게스트 OS" 전원을 켜보자.


'포트 포워딩'으로 인해서 방화벽 경고가 뜨기도 한다.
그냥 차단 해제 해주면 된다.


포트포워딩이 잘 되는지 확인해보기 위해서 일단 호스트 IP를 확인해보자.


내 경우에는 호스트가 WinXP 이므로 실행에서 'cmd'를 치고 "ipconfig"를 치면 확인할 수 있다.
위 스크린샷을 보면,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다보니 IP가 "192.168.1.2"이다.


호스트에서 위와 같이 접근을 하면, 게스트로 포워딩이 되어 결과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한번 정리를 해보면,
VirtualBox의 게스트 설정에서 포트포워딩 값을 기재해주면 포트포워딩이 잘 된다!

즉, 위의 경우 호스트 IP의 80번 포트를 요청했는데,
게스트 OS의 80번 포트에서 제공해주고 있는 Redmine을 접근하게 해주고 있다!!!

반응형

3월에 4.1.10 버전이 나왔는데,
비교적 짧은 일정으로 업그레이드 버전이 나왔다.

이전 버전에서의 문제들과 SMP 환경에서의 에러들때문에 조금 급히 나온 것 아닌가 추정한다.

ChangeLog는 아래와 같다.

VirtualBox 4.1.12 (released 2012-04-02)

This is a maintenance release. The following items were fixed and/or added:

•VMM: fixed VERR_NOT_SUPPORTED and VERR_RAW_MODE_INVALID_SMP guru meditation due to an invalid reschedule to raw mode (bug #10370)
•VMM: fixed PDMCritSectLeave guru meditation under rare circumstances with SMP guests
•VMM: proper Math Fault handling with certain legacy guests (bug #9042)
•NAT: fixed a socket leak under certain conditions
•Storage: better sanity check against reading beyond end-of-file
Audio: fixed a crash in the NUL audio backend (bug #10374; 4.1.10 regression)
•HGCM: fixed a crash during savestate under rare circumstances
•VBoxSVC: several locking fixes
•VBoxManage: return the correct error code if controlvm savestate failed (bug #10134)
Guest Additions: VBoxService should not crash on exit (bug #10326; 4.1.10 regression)
•Windows Additions: set the correct time stamp when a file is closed (bug #6473)
•Windows Additions: better help if the DirectX backups are not properly installed
•Linux Additions: Linux 3.4-rc1 compile fixes


그런데, 뭐 사실 개인적인 관심사항은 별로 없다.

그냥 많은 충돌을 해결했다니, 바로 업그레이드나 해야겠다~

반응형

요즘 분위기를 계속 이어가서..... ^^


이번에는 Redmine에서 작성중인 내용이 없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plugin을 설치해보자.

   - https://github.com/jbbarth/redmine_drafts


1. plugin download

   - 우선은 plugins 디렉토리로 이동 후 git을 이용해서 다운로드 받도록 하자.


 $ cd /srv/www/redmine.whatwant.com/redmine/vendor/plugins
 $ sudo git clone https://github.com/jbbarth/redmine_drafts.git



2. DB migrate

   - 해당 플러그인은 테이블 생성이 필요하다.


 $ cd /srv/www/redmine.whatwant.com/redmine/
 $ sudo RAILS_ENV=production rake db:migrate_plugins

   - redmine이 설치된 root 디렉토리에 위치한 다음 위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면 된다.


3. 결과 확인

   - redmine에 접속한 다음 일감 만들기 화면을 보면 아래와 같이 임시 저장되었다고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감에 대해서만 해당하는 것은 조금 아쉽지만,
그래도 일감에 대해서 임시 저장을 해주는 좋은 plugin 이다!

반응형

요즘 계속 꽂혀 있는 Redmine 살펴보기~!!

Redmine과 같은 ALM (혹은 Project Management ?) 도구들에게서 가장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바로, 바로 E-mail 기능이다 !!!

여러분들이, 특히 제가 주로 사용하고 있는 Gmail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1. TLS plugin

   - Gmail에서 권장으로 사용되어지는 TLS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plugin을 설치해야 한다.


 $ cd /redmine이 설치된 경로
 $ sudo ruby script/plugin install git://github.com/collectiveidea/action_mailer_optional_tls.git



2. configuration.yml

   - 환경 설정을 해야한다.


 $ cd /redmine이 설치된 경로
 $ sudo cp ./config/configuration.yml.example ./config/configuration.yml
 $ sudo nano ./config/configuration.yml


production:
  delivery_method: :smtp
  smtp_settings:
    tls: true
    address: "smtp.gmail.com"
    port: '587'
    domain: "smtp.gmail.com"
    authentication: :plain
    user_name: "whatwant@whatwant.com"
    password: "passwd"


   - 위 내용을 참조하여 각 상황에 맞게 작성하면 된다.
   - (gmail에서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whatwant.com 도메인 서비스 이용중이다 ^^)



3. 테스트 메일 보내기

   - 위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테스트 메일을 보내보자.

   - redmine에 새로 접속하여 관리자 계정(admin)으로 로그인 하자.


   - [관리]→[설정]→[메일 알림] 들어온 후 오른쪽 제일 밑의 "테스트 메일 보내기"를 클릭하자.


   - 관리자 계정의 이메일 주소로 메일을 보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메일을 제대로 사용하기 위한 설정 등에 대해서는 나중에 기회가 되면....^^
(귀찮은 것은 전부 나중에 기회가 되면이라는 핑계대기 신공~!!!^^)

반응형

요즘 꽂혀있는 Redmine 계속 살펴보기...



1. 새 사용자

   - [관리] → [사용자] → [새 사용자] 선택



   - 위 항목들에 대해서 알맞게 입력 하고 [만들기] 버튼만 누르면 만사 OK~


2. 새 프로젝트

   - [관리]→[프로젝트]→[새 프로젝트] 선택



   - 대부분의 설정은 나중에 다 변경할 수 있으니 그냥 막 설정하고 ^^
   - 중요한 것은 "이름", "식별자"이다.
   - 특히, "식별자"는 URL 주소가 되므로 예쁘게 정해주는 것이 좋다.


   - 프로젝트 생성 후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담당자" 설정이다.

 


   - 오른쪽의 사용자 목록에서 사용자를 고르고 해당 담당자가 역할을 정해준 후 [추가]버튼을 누르면 된다.


   - 위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그 외 부분에 대해서는 나중에 기회가 될 때 차근 차근..... ^^

반응형

Git 관련해서 포스팅해야하는데...
갑자기 또 Redmine에 꽂혀버렸다.... 으흐흐흐흐~


1. login


   - 일단 관리자 로그인을 하자.
   - id/passwd = admin/admin


2. 관리자 계정 설정


   - 오른쪽 위의 [ My account ]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 중요한 부분은 'Language'와 'Time zone' 부분이다.
   - 나머지 부분은 입맛에 맞도록 적절히...하고, [ Save ] 버튼을 눌러주자.


   - 위 스크린 샷과 같이 한글로 예쁘게 바뀐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이번에는 가장 중요한 Password 변경을 위해 오른쪽 위의 [ 비밀번호 바꾸기 ]를 누르자.


   - 원하는 비밀번호를 적어준 후 [ 적용 ] 버튼을 눌러주자.


3. 설정


   - 왼쪽 메뉴에 있는 [ 관리 ]를 선택하면 위 스크린샷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 여기에서 [ 설정 ]을 고르자.


   - 전부 설명하기엔 너무 지루하고,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부분들에 대해서만 집고 넘어가자.


   - 레드마인 제목 : 화면의 오른쪽 위에 표시가 되는 텍스트
   - 최대 첨부파일 크기 : 기본 용량이 적으니 100MB 정도로 잡아주자
   - 첨부파일이나 저장소 인코딩 : UTF-8,EUC-KR


   - 기본 언어 : 한국어


   - 여기까지 하고 [ 저장 ]을 하자.



나머지 부분에서도 중요한 것들이 많지만, 필요에 따라서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다.
우선은 여기까지만... ^^

반응형

개인적으로 Project Management Tool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Redmine~!!!
Ruby가 아니라 Python으로 만들어졌다면 100점 만점에 100점을 줄텐데.... ^^

이 Redmine 설치에 대해서 이미 포스팅을 했다고 생각했는데,
지금 찾아보니 없어서 지금에서야 헐래벌떡 포스팅을 하고자 하고 있다.



내가 또 개인적으로 너무나 좋아하는 Ubuntu에서
너무나 친절하게도 apt-get으로 redmine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제공해주고 있다.

하지만 일단은 Source Code로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apt-get으로 설치하는 것과 관리하는 법에 대해서도 살펴보겠다.




Redmine의 경우 Ruby 등의 의존성이 있는 것들의 버전 맞추는 것과
Database에 대해서 설정하는 것들이 조금은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인지 설치하기 편하게 제공해주는 Bitnami Redmine 패키지도 있다.



설치하기가 쉽지 않다고는 하지만,
Redmine에서 친절히 모두 설명해주고 있기 때문에 차근차근 잘 따라하면 된다!!!


Redmine에서 제공해주는 설치 가이드
   - http://www.redmine.org/projects/redmine/wiki/RedmineInstall



01. 버전 확인하기

      - 2012.03.23 현재 Redmine의 최신 버전은 [ v1.3.2 ] 이다.
      - 설치할 버전에 대해서 잘 기억을 해두자.


02. Ruby & Ruby on Rails & Rack 호환 버전 확인하기

      - 가장 어려운 Ruby 형제들 버전 호환성 맞추기
      - 우리는 v1.3.2 를 설치할 것이기에 아래와 같이 버전을 맞추면 된다.

  Redmine  Supported Ruby  Required Rails  Supported Rack  Supported RubyGems
 1.3.x  ruby 1.8.6, 1.8.7  Rails 2.3.14  Rack 1.1.x  RubyGems <= 1.7


03. 기본 패키지 + Ruby 설치하기

      - Ubuntu에서 필요한 기본 패키지를 설치하자. 좀 많다.
      - Ruby를 소스 코드 설치할 수도 있는데, 많은 귀찮은 부분이 있으므로 그냥 아래와 같이 패키지 설치하자.

 


 $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ruby1.8 ruby1.8-dev irb1.8 rdoc1.8 libdbd-pg-ruby1.8 zlib1g-dev libpcre3-dev libopenssl-ruby1.8 libzlib-ruby libssl-dev libcurl4-openssl-dev libpq-dev libreadline-gplv2-dev libjpeg62-dev libpng12-dev



04. RubyGems 설치하기

      - 이번에는 조금은 난감한 RubyGems를 설치해보자.
      - http://rubygems.org/

      - 버전 호환성을 보면 1.7 버전 이하를 요구하는데, 현재 최신 버전은 1.8.21 이다.
      - 그런데, 홈페이지를 아무리 뒤져도 이전 버전을 확인할 수가 없다.
      - 그래서 Github를 뒤져보게 되었다.
      - https://github.com/rubygems/rubygems

      - 여기에서 branches를 찾아보자.
      - https://github.com/rubygems/rubygems/branches

      - 1.7 버전을 선택하고 ZIP 경로 확인!


 $ wget https://nodeload.github.com/rubygems/rubygems/zipball/1.7
 $ mv ./1.7 ./rubygems-rubygems-v1.7.2-0-gb412f7a.zip

      - 압축을 풀고 설치를 하자.

 


 $ unzip ./rubygems-rubygems-v1.7.2-0-gb412f7a.zip
 $ cd ./rubygems-rubygems-v1.7.2-0-gb412f7a
 $ sudo ruby setup.rb
 $ sudo ln -s /usr/bin/gem1.8 /usr/bin/gem


05. PostgreSQL 설치 + Subversion

      - Redmine을 설치할 때에는 DB가 필요한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MySQL을 사용한다.
      - 하지만, 개인적인 취향으로는 PostgreSQL을 좋아한다.
      - MySQL이 Oracle에 팔린 뒤로 조금은 기피하기 때문이다.
      - 물론 성능상으로도 PostgreSQL이 떨어지지도 않는다!

      - 소스코드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그냥 apt-get 패키지로 설치했다.
      - 설치하는 김에 subversion도 같이 설치했다. (redmine 소스 코드 받을 때 사용)

 $ sudo apt-get install postgresql subversion


06. Rails, i18n, rack, fastthread, postgres, pg 설치하기

      - Rails v2.3.14 설치하기
      - i18n v0.4.2 설치
      - rack v1.1.1 설치
      - fastthread, postgres, pg 설치

 $ sudo gem install -v=2.3.14 rails
 $ sudo gem install -v=0.4.2 i18n
 $ sudo gem install -v=1.1.1 rack
 $ sudo gem install fastthread
 $ sudo gem install postgres
 $ sudo gem install pg


07. ImageMagick

      - redmine에서 옵션으로 요구하는 ImageMagick 를 설치해보자.
      - 이게 버전이나 설치 호환성을 따지는데, 정확한 정답은 아직 모르겠다. 그냥 막 되는대로~ ^___^

      - http://www.imagemagick.org/

      - 사전에 몇 가지 패키지를 더 설치해보자.

 $ sudo apt-get install librmagick-ruby1.8 libmagickwand-dev
 $ sudo gem install rmagick

      - 이제는 ImageMagick source code를 다운 받고  압축을 풀자.


 $ wget ftp://ftp.imagemagick.org/pub/ImageMagick/ImageMagick.tar.gz
 $ tar zxvf ./ImageMagick.tar.gz

      - 이제는 설치작업을 하자.


 $ cd ./ImageMagick-6.7.6-1
 $ ./configure
 $ make
 $ sudo make install


08. passenger 설치

      - Redmine의 웹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passenger를 설치하자
      - http://rubyforge.org/projects/passenger

      - 다운로드 받고 이어서 설치를 하자

 


 $ wget http://rubyforge.org/frs/download.php/75548/passenger-3.0.11.tar.gz
 $ tar zxvf passenger-3.0.11.tar.gz

 


 $ cd passenger-3.0.11/
 $ cd ./bin/
 $ sudo ./passenger-install-nginx-module

→ [Enter]

   - 설치 과정 중에 선택하는 화면에서는 '1'번을 고르면 된다

 


→ [ 1 ] → [ Enter ] 계속...

   - 실행을 위해서 스크립트 파일을 만들어야 한다


 $ sudo nano /etc/init.d/nginx

→ 내용은 아래 별도

 $ sudo chmod +x /etc/init.d/nginx
 $ sudo update-rc.d -f nginx defaults

#!/bin/sh

### BEGIN INIT INFO
# Provides:          nginx
# Required-Start:    $all
# Required-Stop:     $all
# Default-Start:     2 3 4 5
# Default-Stop:      0 1 6
# Short-Description: starts the nginx web server
# Description:       starts nginx using start-stop-daemon
### END INIT INFO

PATH=/opt/nginx/sbin:/sbin:/bin:/usr/sbin:/usr/bin
DAEMON=/opt/nginx/sbin/nginx
NAME=nginx
DESC=nginx

test -x $DAEMON || exit 0

# Include nginx defaults if available
if [ -f /etc/default/nginx ] ; then
        . /etc/default/nginx
fi

set -e

case "$1" in
  start)
        echo -n "Starting $DESC: "
        start-stop-daemon --start --quiet --pidfile /opt/nginx/logs/$NAME.pid \
                --exec $DAEMON -- $DAEMON_OPTS
        echo "$NAME."
        ;;
  stop)
        echo -n "Stopping $DESC: "
        start-stop-daemon --stop --quiet --pidfile /opt/nginx/logs/$NAME.pid \
                --exec $DAEMON
        echo "$NAME."
        ;;
  restart|force-reload)
        echo -n "Restarting $DESC: "
        start-stop-daemon --stop --quiet --pidfile \
                /opt/nginx/logs/$NAME.pid --exec $DAEMON
        sleep 1
        start-stop-daemon --start --quiet --pidfile \
                /opt/nginx/logs/$NAME.pid --exec $DAEMON -- $DAEMON_OPTS
        echo "$NAME."
        ;;
  reload)
          echo -n "Reloading $DESC configuration: "
          start-stop-daemon --stop --signal HUP --quiet --pidfile     /opt/nginx/logs/$NAME.pid \
              --exec $DAEMON
          echo "$NAME."
          ;;
      *)
            N=/etc/init.d/$NAME
            echo "Usage: $N {start|stop|restart|reload|force-reload}" >&2
            exit 1
            ;;
esac
exit 0


09. redmine 다운로드

      - 이제 우리의 주인공 redmine을 설치하기 위한 준비는 끝났다!
      - redmine을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자
 


 $ cd /srv/www/redmine.whatwant.com/
 $ svn co http://redmine.rubyforge.org/svn/trunk redmine


10. postgresql 설정하기

      - redmine을 위해 계정도 생성해주고 데이터베이스도 생성해주자

      - 우선 postgres 계정으로 변경 후 postgresql에 접속하자
      - 더불어 redmine 계정도 생성하고 redmine 데이터베이스도 생성해주자
 


 $ sudo su - postgres
 $ psql

 # CREATE ROLE redmine LOGIN ENCRYPTED PASSWORD 'redmine' NOINHERIT VALID UNTIL 'infinity';
 # CREATE DATABASE redmine WITH ENCODING='UTF8' OWNER=redmine TEMPLATE=template0;

 # \q

 $ exit


11. database 설정값 등록

      - redmine에게 database 정보를 알려주자


 $ cd /srv/www/redmine.whatwant.com/redmine
 $ nano ./config/database.yml

 $ chmod 600 ./config/database.yml

      - 파일 내용은 아래와 같이 만들어주면 된다

production:
        adapter: postgresql
        database: redmine
        host: localhost
        username: redmine
        password: redmine
        encoding: utf8
        schema_search_path: public

      - 추가로 몇 가지 작업을 더 해야한다. (sqlite3를 사용하지는 않는데, 의존성 때문에 필요하다)


 $ sudo apt-get install sqlite3 libsqlite3-dev
 $ sudo bundle install --without development test rmagick mysql sqlite3
 $ RAILS_ENV=production rake config/initializers/session_store.rb
 $ RAILS_ENV=production rake db:migrate
 $ RAILS_ENV=production rake redmine:load_default_data
 → ko


12. redmine 설정

      - 이제 마무리 단계다.


 $ sudo adduser redmine
 $ cd /srv/www/redmine.whatwant.com
 $ sudo chown -R redmine.redmine *
 $ cd ./redmine/
 $ sudo chmod -R 755 files/ log/ tmp/ public_assets/



13. nginx conf

 

      - 웹서비스를 위한 환경 설정을 하자.

 

  

  $ sudo nano /opt/nginx/conf/nginx.conf

   → user redmine;

 

 

      - 이제는 웹 서비스 관련된 사항들에 대해서 포함하자

  

 

 http {
    passenger_root /srv/install/redmine/passenger/passenger-3.0.11;
    passenger_ruby /usr/bin/ruby1.8;

 


        #location / {
        #    root   html;
        #    index  index.html index.htm;
        #}

        access_log /srv/www/redmine.whatwant.com/redmine/log/access.log;
        error_log /srv/www/redmine.whatwant.com/redmine/log/error.log;

        passenger_enabled on;
        root /srv/www/redmine.whatwant.com/redmine/public;

        location ~* \.(ico|jpg|gif|png|css|js|swf|html)$ {
           if (-f $request_filename) {
              expires max;
              break;
           }
        }


      - 이젠 nginx를 시작하고 redmine을 확인하자!

 

 

 

 $ sudo /etc/init.d/nginx start 


      - 웹페이지를 열어서 'localhost' 주소로 들어가면 위 스크린샷과 같이 뜨면 성공이다~!!!

 

      - 관리자 초기 계정은 'admin / admin' 이다.




기타 세부 설정은 나중 기회에~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