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VNC를 사용하고자 하는데, RealVNC 라는 업체에서 제공하는 것은 왠지 찝찝했다.

그러다가 발견한 문구 !!!

 

"free for both personal and commercial usage, with full source code available"

 

http://www.tightvnc.com/

 

거기에다가 vnc4server와 거의 완벽히 일치한다.

 

기본 실행 환경은 Ubuntu Desktop 버전을 기본값으로 그대로 설치하고,

기본 패키지 업그레이드는 기본 상태에서 최신으로 계속 갱신해 놓은 상태이다.

 

아래 내용을 테스트한 환경은 아래와 같다.

- Ubuntu 12.04 LTS 64bit

- Ubuntu 14.04 LTS 64bit

- Ubuntu 16.04 LTS 64bit

 

이하 과정은 vnc4server와 거의 동일하다.

 

 

1. 필요 패키지 설치

 

    본래는 아래 패키지들도 설치해야하지만, 이미 설치되어 있어서 제외하고 설치해도 된다.

 

        - sudo apt-get install gnome-settings-daemon gnome-terminal metacity nautilus

 

    아래와 같이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자

 

$ sudo apt-get install gnome-panel tightvncserver

 

 

 

2. 첫 실행

 

    첫 실행을 해서 기본 Config 등의 구성을 하도록 하면 되는데,

    sudo 없이 계정 권한으로 실행하여도 된다.

 

$ vncserver

 

    아래와 같이 패스워드 설정을 진행하면 된다.

 

 

 

    위의 화면을 보면 알겠지만, 계정 권한으로 실행을 하면 해당 계정으로 환경 설정을 한다.

 

 

 

 

3. 기본 창 관리자 변경

 

    기본 생성된 xstartup 파일에는 내가 원하는 대로 환경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

    가장 먼저 실행된 vnc4server를 종료부터 하고 xstartup 파일을 수정하자.

 

$ vncserver -kill :1

$ cp ~/.vnc/xstartup ~/.vnc/xstartup.old

$ nano ~/.vnc/xstartup

 

#!/bin/sh

export XKL_XMODMAP_DISABLE=1
unset SESSION_MANAGER
unset DBUS_SESSION_BUS_ADDRESS

[ -x /etc/vnc/xstartup ] && exec /etc/vnc/xstartup
[ -r $HOME/.Xresources ] && xrdb $HOME/.Xresources
xsetroot -solid grey
vncconfig -iconic &

gnome-panel &
gnome-settings-daemon &
metacity &
nautilus &
gnome-terminal &

 

 

 

4. 다시 실행하기

 

    실행할 때에 해상도를 미리 정해줘야 한다.

 

$ vncserver -geometry 1024x768

 

 

 

5. VNC Viewer 로 접속하기

 

    다른 PC에서 해당 IP로 접속하면 된다. 물론 뒤에 디스플레이 번호 붙여서...

    VNC Viewer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쁘게 잘 나온다!

 

 

 

 

6. TightVNC Java Viewer 로 접속하기

 

    이왕 TightVNC를 사용하는 김에 Viewer도 바꿔 보자.

 

       - http://www.tightvnc.com/download.php

 

 

    다운로드 후 압축을 풀어서 실행하면 된다.

 

 

 

    실행하는 방법은 살짝 다르다. 여기에서는 Display가 아니라 포트 번호를 적어주면 된다.

 

 

 

    실행은 뭐 당연하게도 잘된다!

 

 

 

7. 부팅 時 자동으로 실행

 

    이제 잘 되는 것 까지는 확인했으니, 부팅할 때에 알아서 되도록만 하면 되겠다.

 

$ sudo nano /etc/init.d/vncserver

 

    아래 내용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USER 부분이나 해상도 부분은 각자 상황에 맞게...

 

#!/bin/bash
### BEGIN INIT INFO
# Provides:          vncserver
# Required-Start:    networking
# Required-Stop:     networking
# Default-Start:     2 3 4 5
# Default-Stop:      0 1 6
### END INIT INFO

 

PATH="$PATH:/usr/bin/"
export USER="u12"

 

DISPLAY="1"
DEPTH="16"
GEOMETRY="1024x768"

 

OPTIONS="-depth ${DEPTH} -geometry ${GEOMETRY} :${DISPLAY}"

 

. /lib/lsb/init-functions

 

case "$1" in
start)
log_action_begin_msg "Starting vncserver for user '${USER}' on localhost:${DISPLAY}"
su ${USER} -c "/usr/bin/vncserver ${OPTIONS}"
;;

 

stop)
log_action_begin_msg "Stoping vncserver for user '${USER}' on localhost:${DISPLAY}"
su ${USER} -c "/usr/bin/vncserver -kill :${DISPLAY}"
;;

 

restart)
$0 stop
$0 start
;;
esac
exit 0

 

$ sudo chmod +x /etc/init.d/vncserver

$ sudo update-rc.d vncserver defaults

 

    이제는 재부팅을 하여도 잘 된다~!!!

 

반응형

 

리눅스 환경에서 "원격 데스크탑"으로 가장 유명한 SW로 꼽히는 것이 바로 VNC이다. 최근에는 xrdp를 많이 사용하긴 하지만, 그래도 전통을 갖고 있는 VNC...

 

하지만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VNC SW는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아닌 것 같다.

RealVNC 라는 업체에서 제공하는 Free 버전의 경우 "For individual private use." 용도로 되어있다.

 

 

뭐 일단 내 PC와 Server가지고 나만 사용하는 것이니까... 라이선스에는 부합하는 것 같은데...

 

 

 

VNC에 대해서 검색을 하다보면 그 대중성과 유명세에 비해서 정보들이 많지 않다.

다들 잘 아는데, 나만 모르는 건가? 나만 검색을 잘 못하는 건가?

 

 

 

일단 VNC를 사용할 때에 좀 귀찮은 부분이 "Desktop Environments"을 맞추는 것이다.

검색 결과의 대부분이 VNC를 셋팅할 때에 가볍게 사용하기 위한 XFce 같은 것으로 알려주고 있다.

나는 그냥 사용하고 있는 Unity 화면과 비스무리하게 사용하고 싶은데...

 

 

그리고, 대부분의 포스트에서 보면 실행 권한에 대한 언급을 볼 수 없었다.

대체 root 권한으로만 해야하는 것인지, 그냥 일반 계정 권한으로 하면 안되는 것인지...

 

 

또 하나는, 포트인데... VNC에서 사용하는 포트가 몇 번인지 명확히 설명해준 글이 많지 않았다.

때로는 방화벽이나 Proxy 등으로 사용하는 포트가 궁금했는데...

 

 

 

결국은 목마른 넘이 우물을 파듯이...

하나씩 찾아보고, 직접 테스트 해보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았다.

 

 

 

기본 실행 환경은 Ubuntu Desktop 버전을 기본값으로 그대로 설치하고,

기본 패키지 업그레이드는 기본 상태에서 최신으로 계속 갱신해 놓은 상태이다.

 

아래 내용을 테스트한 환경은 아래와 같다.

- Ubuntu 12.04 LTS 64bit

- Ubuntu 14.04 LTS 64bit

- Ubuntu 16.04 LTS 64bit

 

 

 

1. 필요 패키지 설치

 

    본래는 아래 패키지들도 설치해야하지만, 이미 설치되어 있어서 제외하고 설치해도 된다.

 

        - sudo apt-get install gnome-settings-daemon gnome-terminal metacity nautilus

 

    아래와 같이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자

 

$ sudo apt-get install gnome-panel vnc4server

 

 

 

2. 첫 실행

 

    첫 실행을 해서 기본 Config 등의 구성을 하도록 하면 되는데,

    sudo 없이 계정 권한으로 실행하여도 된다.

 

$ vnc4server

 

    아래와 같이 패스워드 설정을 진행하면 된다.

 

 

    위의 화면을 보면 알겠지만, 계정 권한으로 실행을 하면 해당 계정으로 환경 설정을 한다.

 

 

 

 

3. 기본 창 관리자 변경

 

    기본 생성된 xstartup 파일에는 내가 원하는 대로 환경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

    가장 먼저 실행된 vnc4server를 종료부터 하고 xstartup 파일을 수정하자.

 

$ vnc4server -kill :1

$ cp ~/.vnc/xstartup ~/.vnc/xstartup.old

$ nano ~/.vnc/xstartup

 

#!/bin/sh

export XKL_XMODMAP_DISABLE=1
unset SESSION_MANAGER
unset DBUS_SESSION_BUS_ADDRESS

[ -x /etc/vnc/xstartup ] && exec /etc/vnc/xstartup
[ -r $HOME/.Xresources ] && xrdb $HOME/.Xresources
xsetroot -solid grey
vncconfig -iconic &

gnome-panel &
gnome-settings-daemon &
metacity &
nautilus &
gnome-terminal &

 

 

 

4. 다시 실행하기

 

    실행할 때에 해상도를 미리 정해줘야 한다.

 

$ vnc4server -geometry 1024x768

 

 

 

5. VNC Viewer 로 접속하기

 

    다른 PC에서 해당 IP로 접속하면 된다. 물론 뒤에 디스플레이 번호 붙여서...

 

 

    예쁘게 잘 나온다!

 

 

 

 

 

6. 부팅 時 자동으로 실행

 

    이제 잘 되는 것 까지는 확인했으니, 부팅할 때에 알아서 되도록만 하면 되겠다.

 

$ sudo nano /etc/init.d/vncserver

 

    아래 내용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USER 부분이나 해상도 부분은 각자 상황에 맞게...

 

#!/bin/bash
### BEGIN INIT INFO
# Provides:          vncserver
# Required-Start:    networking
# Required-Stop:     networking
# Default-Start:     2 3 4 5
# Default-Stop:      0 1 6
### END INIT INFO

 

PATH="$PATH:/usr/bin/"
export USER="u12"

 

DISPLAY="1"
DEPTH="16"
GEOMETRY="1024x768"

 

OPTIONS="-depth ${DEPTH} -geometry ${GEOMETRY} :${DISPLAY}"

 

. /lib/lsb/init-functions

 

case "$1" in
start)
log_action_begin_msg "Starting vncserver for user '${USER}' on localhost:${DISPLAY}"
su ${USER} -c "/usr/bin/vncserver ${OPTIONS}"
;;

 

stop)
log_action_begin_msg "Stoping vncserver for user '${USER}' on localhost:${DISPLAY}"
su ${USER} -c "/usr/bin/vncserver -kill :${DISPLAY}"
;;

 

restart)
$0 stop
$0 start
;;
esac
exit 0

 

$ sudo chmod +x /etc/init.d/vncserver

$ sudo update-rc.d vncserver defaults

 

    이제는 재부팅을 하여도 잘 된다~!!!

 

 

 

아! 그리고 Display 1번인 경우 디폴트 포트는 5901 을 사용한다!

다른거 없이 이거 하나만 열리면 사용할 수 있다.

 

 

 

앗싸~ 여기까지!

반응형

 

처음부터 계속 투표하고 있는 귀여운 유정이~ ^^

 

동영상 모음~

 

 

 

 

 

 

 

 

반응형

 

 

 

우리 가족이 주말에 종종 면식을 하고자 할 때 가는 칼국수 집이다.

 

 

 

만세를 외치는 우리 공주님 ^^

 

 

 

 

가격도 착하다.

 

해물과 만두를 같이 먹고 싶으면, 고맙게도

해물칼국수 1인분 + 만두전골 1인분을 시키면 그렇게 해주신다.

 

 

 

 

배추김치도 맛나고 콩나물도 맛나고 반찬 전부 먹을만하다~

 

 

 

칼국수 먹기 전에 에피타이저(?)로 보리밥을 준다.

고추장 넣고 참기름 넣고 비벼 먹으면~ 아주~ 그냥~

 

물론 고맙게도 더 잘라고 하시면 주신다 ^^

 

 

 

 

보글 보글

 

 

 

 

 

태어나서 처음 만들어본 움직움직~ Animation GIFs !

 

 

만두가 마늘(?), 후추(?) 맛이 조금 쎄지만

개인적으로는 정말 좋아한다.

 

 

※ 참고로 업체(식당)의 후원이나 부탁같은거 받고 쓴 글 아니다. (물론 해주시면 감사히 가서 먹겠습니다 ^^)

 

 

 

장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차 괜찮습니다.

 

 

 

 

 

 

반응형

 

 

그동안 맛집에 대한 포스팅을 너무 안해서...

주말에 잠시 짬을 내어서 작성해본다.

 

 

뭐 항아리보쌈 자체가 체인이긴 하지만...

여기는 특히 맛있다.

 

 

주말에 피크타임 때 가면 주차공간이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주변에 잘 찾아보면... ^^

 

 

 

오른쪽의 저 씨레기국물~ 정말 짱이다!!

파김치도 맛있고!!!

 

그리고 저 쌈장~~~!!!

견과류도 들어있는 것 같고 짜지도 않고 맛있다!!!

 

 

 

우리 세식구는 2인세트인 "小" 시켜서 먹는다.

뭐 우리 공주님이 소식을 하긴 하지만...

그것보다 양을 정말 많이 준다!

 

 

 

 

고기도 정말 맛있고,

김치도~ 무채(?)도~ 정말 정말 맛있다!!!

 

 

 

 

공깃밥 시켜서 상추랑 싸먹어도 맛나고,

무쌈이랑 싸먹어도 맛나다.

 

아~ 또 먹고 싶다!!!

 

 

 

 

※ 참고로 업체(식당)의 후원이나 부탁같은거 받고 쓴 글 아니다. (물론 해주시면 감사히 가서 먹겠습니다 ^^)

 

 

 

우리 아가도 좋아하고 나도 좋아하고 마눌님도 좋아하는 보쌈!

장소는 아래와 같다.

 

 

 

 

반응형

 

 

마블 영화를 보고 싶어서 선택한 영화

 

 

마블인데... 데드풀은 히어로가 아니란다.

응?!

 

 

스파이더맨 아니다.

 

 

 

데드풀은 주인공이 단골인 막가파(?) 애들 술집에서

누가 죽을지 내기를 거는 보드판에 써있는 말이다.

 

 

 

원래 주인공은 멀쩡한(?) 남자다.

여주인공이 이쁘네... ^^

 

 

남자 주인공은 "Ryan Reynolds"가 맡았는데,

76년생 캐나다 배우이자 프로듀서이다.

 

 

 

R.I.P.D.(알.아이.피.디.) 주연도 했고, Green Lantern(그린 랜턴: 반지의 선택) 주연도 했다.

매년 2~3편의 영화에 출연하거나 제작, 기획을 하고 있다.

다작 하네... 돈 많이 벌겠다.

 

그런데... 이 아저씨 스칼렛 요한슨하고 결혼했었단다.

결국 이혼했지만...

 

 

 

 

여자주인공인데... 조연으로 분류가 되는 아가씨는

"Morena Baccarin"라는 이름이고 브라질 출신 79년생이다.

생각보다 나이가 많네...

 

 

 

뭐 이 아가씨(?)도 미국 영화감독하고 결혼했다가 결국은 이혼했다.

 

가장 유명한 것은 홈랜드(Homeland)라는 미드에서 주연을 했다는 것 같다.

 

 

 

 

 

사실 이 영화는 좀 엽기적이다.

어떻게 보면 B급 호러 히어로물?! 이다.

 

 

 

자기 손목 스스로 잘라서 탈출하기~

머리 잘라서 날리기~

등등 호러적인 장면도 많이 나오고...

사랑하는(?) 것도 나오고...

저속한 대화도 많이 나오고...

 

 

 

이런 영화를 누가 만들었을까?!

"Tim Miller"라는 미국 아저씨인데... 무려 이 영화가 첫 감독 데뷔작이다.

 

 

 

마블 영화로 첫 데뷔를 하다니...

 

그리고 수상까지는 못했지만

2016년 MTV Movie Awards에서 8부분에 노미네이트 되었었고...

 

5,800만 달러를 투자해서

무려 73,400만 달러를 벌었다. 흥행 대박! 8000억원 이상을 벌었다니...

 

 

 

 

 

저속한 대화나 호러적인 장면을 싫어하는 분들에게는

추천할 수 없는 영화다.

 

반대로 그러한 것들을 받아들일 수 있는 분들에게는

강추하고픈 영화다.

 

배신같은거 없고 머리아픈 내용 없다.

그냥 막가파 슈퍼 캐릭터가 하나 나와서

막가는 이야기다.

 

그렇다고 줄거리가 엉망인 것도 아니다.

적당히 볼만 하다.

 

 

 

아! 그리고 영화 다 끝나도 끝난게 아니다.

 

 

짜잔~

 

 


IMDb  평점 : 8.40
네이버 평점 : 8.16
나만의 평점 : 8.70


Naver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75426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Deadpool_(film)
IMDb - Internet Movie Database
http://www.imdb.com/title/tt1431045/


[출처]
* 포스터 및 스크린샷 중 일부는 네이버, Google에서 퍼왔음을 밝힙니다.
(영화 관련 저작권 괴담은 무서워요~)

 

[ 주의 사항 ]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영화평을 적는 공간이니만큼,
개인의 취향은 존중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건전한 비판이나 조언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반응형

 

오늘 개인적인 취향에 저격을 한 참가자가 있어서 급히 포스팅!

 

 

안예은

 

대박~~~!!!!

 

 

 

말 그대로 개인취향이긴 하지만...

몽환적인 분위기... 자기만의 세상... 약간의 슬픔... 약간의 반항... 약간의 고독...

 

 

오늘"우예린"과 같이 부른 노래도 좋았지만,

그동안 방송에 나오지 않았던 1라운드 곡은 살짝만 들어도 정말 헉!!!

대체 왜 방송에 나오지 않았던 것이냐!!!

 

음악적인 분위기도 너무 좋았고 목소리나 노래기법 전부 다 정말 정말 좋았다.

 

 

오늘 노래도.. 연탄곡으로 편곡한 분홍신... 하아... 좋다!!!

 

 

 

 

 

 

반응형

 

간단하게 Git 서버가 필요해서 떠오른 GitLab을 어떻게 하면 한방에 설치할 수 있을지 연구하다가... ^^

최종적으로는 GitLab을 Docker 기반으로 실행을 하고 싶어서 이것 저것 알아보았다.

 

 

그런데, 이번에도 느낀 것이지만 개발환경(Development Environment)과 관련된 도구들은

막상 알게되면 그리 어렵지도 않고 별것도 아닌데 그 조금을 알아내기가 쉽지 않다.

 

Docker도 그렇고 GitLab도 그런 것 같다.

막상 알게 되면 그닥 어려운 애들이 아닌데 내가 필요한 것들을 알아내기가 쉽지는 않다.

 

내가 블로그를 시작한 이유처럼... 내가 알아낸 것들을 최대한 쉽게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 공유! 파이팅!!

 

 

 

 

1. Docker 설치하기

   - http://www.whatwant.com/825

 

 

 

2. 기존 Server SW 제거

   - 포트 충돌 방지를 위해서 기존에 해당 포트들을 사용하는 것들이 있으면 제거(?) 하자

   - 기본 포트는 [ 443, 80, 22 ] 이다.

   - 필자는 22번 SSh Server가 있어서 삭제를 진행했었다.

 

$ sudo apt-get purge openssh-server

 

 

 

3. Docker 실행

   - docker 설치 잘 되어있고, 포트 충돌날 것들 없앴고... 준비는 모두 끝났다.

   - 그냥 실행 확 해버리면 알아서 이미지 내려받고 알아서 잘 실행한다.

 

$ sudo docker run --detach --hostname gitlab.example.com --publish 443:443 --publish 80:80 --publish 22:22 --name gitlab --restart always --volume /srv/gitlab/config:/etc/gitlab --volume /srv/gitlab/logs:/var/log/gitlab --volume /srv/gitlab/data:/var/opt/gitlab gitlab/gitlab-ce:latest

 

   - 위에 작성된 옵션들을 잘 해석해보기 바란다. GitLab을 운영하기 위한 많은 것들이 녹아들어 있다.

   - 아래와 같은 옵션도 넣을 수 있다는 것을 참고하기 바란다(필요에 따라).

 

-e 'GITLAB_SSH_PORT=10022' -p 10022:22 -v /var/run/docker.sock:/run/docker.sock -v $(which docker):/bin/docker -v /home/swc/gitlab/data:/home/git/data -e 'GITLAB_HOST=git.site.net' -e 'GITLAP_TIMEZONE=UTC+9' -e 'GITLAB_EMAIL=git@git.site.net' -e 'SMTP_ENABLED=true' -e 'SMTP_DOMAIN=site.net' -e 'SMTP_HOST=123.234.345.456' -e 'SMTP_PORT=25' -e 'SMTP_OPENSSL_VERIFY_MODE=none' -e 'SMTP_AUTENTICATION=none' -e 'LDAP_ENABLED=true' -e 'LDAP_HOST=ldap.site.net' -e 'LDAP_PORT=636' -e 'LDAP_UID=uid' -e 'LDAP_METHOD=ssl' -e 'LDAP_BASE=ou=People,dc=swc,dc=site,dc=net' gitlab/gitlab-ce:latest

 

 

 

4. Login

   - http://localhost  접속하면 된다.

      • username: root

      • password: 5iveL!fe

 

 

 

파이팅!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