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IT 세상은 모두 AI로 채워져 있다.

 

심지어 나의 밥벌이인 S/W개발 부분에 있어서도 Cursor, Windsurf, Cline 등의

AI Coding Assistant 도구들이 춘추전국시대 처럼 우후죽순 쏟아지며 개발자들의 자리를 위협하고 있다.

 

이에 있어서 결정적인 트리거가 된 요소 中 하나가

안드레 카파시 아저씨가 외친 "바이브 코딩"이라는 키워드가 대중화 되어버린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과연 "바이브 코딩"이라는 것이 무엇일까?

 

그냥 "테트리스 게임 만들어줘"라고만 외치면 되는 것일까?

 

"바이브 코딩"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해야하는 것인지 알고자 하던 와중에

너무나 좋은 기회가 되어 신청한 리뷰어 신청이 당첨이 되어버렸다! 앗싸!!!

 

 

한빛+ 강의 목록도 AI가 모두 채우고 있다 ^^

 

 

"핸즈온 바이브 코딩" 강의는 프론트엔드/백엔드/데브옵스/보안 4가지로 구성이 되어 있고,

현재는 프론트엔드/백엔드 2개 강의가 등록되어 있다.

 

 

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아니지만, 뭐 사실 잡부이기에 별로 개의치 않고

"핸즈온 바이브 코딩: 프론트엔드" 강의를 열심히 들었다.

 

 

어디서 많이 뵌듯한 친근한 느낌인 "정개발(정도현)" 강사님인데,

'나는 프로그래머다' 컨텐츠에서 많이 뵈어서인 것 같다.

 

 

음... 다 좋았는데,

하나 아쉬운 점은 "Windsurf"를 가지고 진행했다는 점이다.

 

최근 시장 지배적인 위치에 있는 것은 "Cursor"인데,

"Windsurf"가 무료이거나 탁월하게 저렴한 것도 아니고 "Cline" 처럼 오픈소스인 것도 아니고...

 

거기에다가 결국은 OpenAI 인수가 실패하고

지금은 최초의 AI Developer로 유명했던 Devin의 개발사인 Congnition에서 인수해버렸고 ...

 

더 서운한 것은 백엔드는 Cursor로 진행하신다고 한다. (프론트엔드는 버림 받은 느낌이 든다 ㅠㅠ)

 

하지만, 강의 내용 그대로 Cursor로 따라해도 무방하다고 하니 참고!

 

 

보다 충실한 소통을 위해 Discord 채널도 운영해준다.

Discord는 쓰는 사람만 사용해서인지 좀 썰렁하긴 하다.

 

 

커리큘럼은 총 13차시로 구성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3개의 세미나도 제공해주는데, 유명한 분들의 좋은 인사이트를 엿볼 수 있는 좋은 내용이다!

 

 

강의 초반부는 이론적인 설명들로 이루어져 있다.

 

지루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그냥 한 번 취미로 해보는 것이 아니라 실제 업무에 '바이브 코딩'을 사용하려 한다면

혼자서 깨우치려면 정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만 찾아낼 수 있는

하나 하나가 정말 소중한 내용이다.

 

중간부터는 실제 실습을 하면서

중간에 발생하는 상황들에 대해서 전부 live로 대응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서 정말 좋았다.

 

 

기능을 하나씩 따로 설명해주는 것이 아니라

온전한 프로젝트를 하나 완성해 나가는 과정을 모두 보여주기 때문에

보다 더 실용적이고 실무적인 느낌이 훨씬 더 강하게 느껴지는 강의였다.

 

 

그리고, 정말 좋았던 것 중 하나는 강의 발표 자료 또는 소스 코드를 모두 제공해준다는 점이었다.

 

강의 화면에서 지나갔던 것들에 집착하지 않고

강의는 강의대로 보고 따라서 해볼 때에는 발표 자료나 소스코드를 참조해서 해볼 수 있어서 정말 좋았다.

 

 

아! 정개발님이 운영하는 오픈카톡방도 있다.

최근 바이브 코딩과 관련된 트랜드 게시물들을 자주 공유해주신다!

 

 

 

'바이브 코딩'에 대해서 알고 싶으신 분들에게 이 강의는 추천!

https://www.hanbit.co.kr/product/C0890296422

반응형

혼공학습단을 하게 되니, 일주일이 너무 빨리 지나간다.

저번 주 스터디를 한지 얼마 안된 것 같은데, 벌써 2주차 마지막 날이라니... 

 

 

정말 다행인 것은 다음 챕터가 아닌 Chapter 01 실습이라 큰 부담은 되지 않았다. 😅

 

 

▶ 기본 숙제 (필수)

Ch.01(01-3) LeNet으로 Fashion MNIST 분류 실습 후 예측 결과 화면 캡쳐하기

 

앞서 분류되어 있는 test 데이터를 가지고 실행하도록 했고,

눈으로 좀 보고 싶어서 앞의 10개 데이터는 화면에 보여주도록 했다.

 

 

 

 

▶ 추가 숙제 (선택)

예측이 틀린 이미지를 골라 "왜 틀렸을까?" 추측해보기

 

 

실제로는 "Coat"인데, "Pullover"로 예측을 한 샘플이다.

전체적으로 예측값과 실제값 사이의 matrix를 찍어보면 다음과 같다.

 

 

예측값이 틀린 경우를 보면 주로 Shirt, T-shirt/top, Pullover, Coat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상당히 유사한 데이터들임을 알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다.

- 더 많은 데이터 (Augmented 포함)

- 28x28 보다 더 큰 이미지 사이즈

- 단색이 아닌 RGB 컬러 이미지 입력

 

반응형

관심 있는 책들을 가지고 혼공 활동을 열심히 했더니,

참여할만한 것들이 없어서 쉬었던 혼공학습단 활동을 간만에 하게 되었다.

 

바로 이 책이 나왔기 때문이다.

- https://www.whatwant.com/entry/honman-deep

 

그래서, 이번 혼공학습단 14기에 지원하게 되었고,

기쁘게도 선정이 되었다.

 

앞으로도 계속 "만들면서" 시리즈가 나왔으면 좋겠다.

- https://hongong.hanbit.co.kr/

 

혼공시리즈이기에 너무나 고맙게도 동영상을 비롯해 소스코드까지 모두 제공해준다.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VsNizTWUw7F1EIzSwUiPn3PFSO-aSEHi

 

박해선님은 나를 모르겠지만,

나는 박해선님을 애정한다 !!! ^^

- https://github.com/rickiepark

 

 

이번 첫 주 공부할 거리는 다음과 같다.

 

 

▷ 기본 숙제

- 소스코드 확인하기

  . https://github.com/rickiepark/hm-dl

 

- '01-3.ipynb' 파일 확인

  . https://github.com/rickiepark/hm-dl/blob/main/01-3.ipynb

 

- 'Open in Colab' 클릭

  . 'Drive에 사본 저장'까지 진행

 

- 모두 실행

 

- LeNet-5 그리기

 

 

▷ 추가 숙제

  - 합성곱층 (Convolution Layer)

    . 이미지와 같은 2D 형식의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는 layer로써 결과물로 특성맵(feature map)을 만들어 냄

  - 풀링층 (Pooling Layer)

    . 중요한 특징은 유지하면서 이미지(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layer로써, 평균값 또는 최댓값을 활용

  - 밀집층 (Dense Layer)

    .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이전 layer들의 feature들을 모두 1D 형태로 변환하여 처리

 

반응형

"한빛미디어 서평단 <나는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개발자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혼공" 시리즈.

 

혼자서도 공부할 수 있도록 잘 만들어진 책일 뿐만 아니라,

동영상 강의도 제공해주고 샘플 코드도 제공해주는 정말 혜자와 같은 교과서들이다.

 

그런데, 이제는 "혼공"이 아니라 "혼만" 시리즈가 나오고 있다.

 

"혼자 만들면서" 시리즈 !!!

그것도, "딥러닝" !!!

거기다가, "박해선"님 !!!

 

 

5월에 출간한 따끈따끈한 책이다.

 

딥러닝은 CNN 부터 시작하는 것이 국롤이기에,

이 책 역시 '합성곱 신경망(CNN)'으로 Chapter 01 시작이다.

 

 

최근 트렌드는 LLM,

트랜스포머의 디코더 기반으로 만들어진 GPT 모델도 Chapter 05에서 알려주고 있다.

 

 

트랜스포머의 인코더와 디코더를 모두 사용하는 모델인

BART와 T5까지 마지막 챕터에서 언급해주고 있다.

 

 

이론이 아니라 직접 만들어 보면서 공부할 수 있는 책이라서 정말 마음에 들었다.

그렇다고 이론적인 내용이 없는 것도 아니다. 충분히 친절하게 이론에 대한 설명도 해주고 있다.

 

더더욱 이 책이 마음에 드는 것은 컬러 인쇄이다!!!

눈이 안아프게 빛 반사도 적은 종이 재질이다!!!

 

 

이와같은 "혼공/혼만" 시리즈 책을 정말 제대로 공부하기 위해서는

"혼공학습단"에 지원해서 맛있는 간식을 먹으며 많은 사람들과 함께 공부하는 것이다.

 

 

이번 14기 참여 기회를 놓쳤다면.... 다음 15기에 지원하면 된다 ^^

종종 있으니 꼭 기억했다가 참여하길 바란다.

 

"혼공/혼만" 시리즈 책들은 많이 있으니 관심있는 다른 책도 구매해서~~~ ^^

 

 

혼공학습단 활동을 열심히 하면 많은 것들이 생긴다 !!!

 

 

혼자 공부할 수 있는 책이지만,

혼자 하다 보면 의욕이 떨어지거나 작심삼일이 되기 쉬운 분들은

이런 활동을 통해서 동기부여를 받으면 좋지 않을까 한다.

 

 

화이팅!!!

반응형

 

"한빛미디어 서평단 <나는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박해선"님의 명작 도서, "혼자 공부하는 머신러닝+딥러닝"의 "개정판"이 나왔다 !!!

 

AI 관련하여 공부를 했던 사람들이라면 아마도 모두 가지고 있을 책이 아닐까 싶은데,

물론 나도 기존 도서를 가지고 있어서 비교 사진을 찍어봤다.

 

동그라미도 하나 추가되었고, 페이지도 더 많아진 새로운 개정판이다.

그래서인지 정가도 2.6만원에서 3.2만원으로 인상되었다. ㅋㅋㅋ

 

 

초판 발행 뒤, 4-5년 정도가 지났으니 물가 인상을 고려하면 정가 인상에 대해서도 충분히 이해가 간다!

벌써 4-5년이 흘렀다니... 처음 이 책으로 공부했던 때가 어제 같은데... 

 

이 책의 장점은 머신러닝에서부터 딥러닝까지 전반적인 사항을 모두 담고 있다는 것이다.

 

 

책에서도 말해주다 싶이, 반드시 순차적으로 공부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머신러닝에 대해서 공부하고 딥러닝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필수는 아니기에 과감히 점프하고 딥러닝을 공부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

 

 

이 책의 초판이 나오는 시점에서는 Tensorflow가 많이 사용될 때라 괜찮았지만,

최근에는 대부분 Pytorch를 많이 사용하기에 개정판에서 파이토치에 대한 내용을 추가해 준 것은 정말 반갑다.

 

혼공 시리즈의 책답게 동영상 강의도 멋지게 제공을 해준다.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JN246lAkhQihHwcbrZp9uuwgxQen5HS-

 

 

큰 변화가 없는 챕터의 경우에는 기존 동영상 강의를 재활용하셨을거라 생각했는데, 전부 새로 등록하신 것 같다! 와우!

 

깃허브에 친절하게도 주피터노트북 파일들을 모두 등록해주셨다.

- https://github.com/rickiepark/hg-mldl2

 

"박해선"님의 블로그를 참고하면 좋다. 정오표도 확인할 수 있다.

- https://tensorflow.blog/hg-mldl2/

 

 

개인적으로 처음에 공부할 때에 이 책을 보고선 좀 당황한 적이 있었다.

다른 곳에서 설명하는 것들과는 조금 다른식으로 접근하거나 설명하는 것들이 있어서였다.

 

그래서 잠시 이 책을 끊고(?) 이렇게 저렇게 시간이 흘러

"혼공학습단"을 통해 다시 이 책을 공부해 보고자 시작하게 되었는데 !!!

 

머신러닝이나 딥러닝을 조금 공부하고 다시 이 책을 봤더니 감탄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아! 이래서 박해선님이 이 부분을 이렇게 설명을 하셨구나!

 

혼자 공부할 수 있도록 잘 정리되고 친절한 설명이 되어 있는 책이지만,

사실 이 책의 일부 챕터만 가지고도 책 한권이 나올 수가 있을만큼

크고 방대한 내용을 다루는 책이 바로 이 "혼공머신"이다.

 

그렇기에 이 책을 제대로 공부하기 위해서는 좀 더 꼼꼼하게 살펴보는 것을 권해본다.

 

이 책에 대해서 서평을 한 마디로 남겨 본다면,

"머신러닝, 딥러닝"을 공부해보고 싶다면 무조건 추천해드립니다!!!

반응형

"한빛미디어 서평단 <나는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최근에 LLM과 연관된 스터디를 하고 있던 중에 만나게 된 반가운 책

"NLP와 LLM 실전가이드"

 

 

원서의 제목은 "Mastering NLP from Foundations to LLMs"인데,

한글로 번역하자면... '기초부터 LLM까지, 자연어 처리 완전 정복!' 정도로 될 것 같다 ^^

 

여기서 또 하나 주목해야할 이름이 보인다. "박조은"

데이터분석, Kaggle, Python 같은 것들을 공부하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이름 ^^

그래서인지 아래와 같이 동영상 강의도 유튜브로 계속 올려주고 계신다. 와우~

 

 

그리고, 실습을 위한 노트북 파일도 새롭게 손봐서 따로 올려주셨다.

- https://github.com/corazzon/Mastering-NLP-from-Foundations-to-LLMs

 

 

원래 제공하는 실습 파일과 비교해보는 것도 재미(?)가 있을 수 있다.

 

 

위에서 볼 수 있는 원서의 표지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이 책의 본질은 NLP(자연어 처리) 책이다.

그 기반이 되는 수학적인 요소들을 포함해 LLM까지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책에서는 "대상 독자"를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내가 생각했을 때에는 "NLP(자연어 처리)와 관련된 전체적인 내용을 훑어보고 싶은 사람"이라고 말해야 하지 않나 싶다.

 

이 책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CHAPTER   1   자연어 처리 개요 살펴보기
CHAPTER   2   머신러닝과 자연어 처리를 위한 선형대수, 확률, 통계 마스터하기
CHAPTER   3   자연어 처리에서 머신러닝 잠재력 발휘하기
CHAPTER   4   자연어 처리 성능을 위한 텍스트 전처리 과정 최적화
CHAPTER   5   텍스트 분류 강화: 전통적인 머신러닝 기법 활용하기
CHAPTER   6   텍스트 분류의 재해석: 딥러닝 언어 모델 깊게 탐구하기
CHAPTER   7   대규모 언어 모델 이해하기
CHAPTER   8   대규모 언어 모델의 잠재력을 끌어내는 RAG 활용 방법
CHAPTER   9   대규모 언어 모델이 주도하는 고급 응용 프로그램 및 혁신의 최전선
CHAPTER 10   대규모 언어 모델과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과거, 현재, 미래 트렌드 분석
CHAPTER 11   세계적 전문가들이 바라본 산업의 현재와 미래

 

전체 목차와 함께 이 책의 쪽수 424쪽인 것을 보면 알겠지만

"기초 수학부터 실전 AI 문제 해결까지" 살펴볼 수 있는 책인 것은 맞지만

깊이 있게까지 살펴보려면 다른 자료들을 더 많이 찾아봐야할 것이다.

 

기초 수학부터 언급한다고 하여 좋아할 사람도 있고, 싫어할 사람도 있을텐데....

그냥 말 그대로 한 번 쭉 훑어보고 지나가는 수준의 수학이기 때문에

너무 큰 기대도 너무 큰 걱정도 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이 책은 원서 제목 그대로가 딱 적당한 제목인 것 같다.

 

"Mastering NLP from Foundations to LLMs"

(기초부터 LLM까지, 자연어 처리 완전 정복!)

반응형

"한빛미디어 서평단 <나는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AI 관련해서 공부를 한다면 최소한 한 번 이상 마주쳤을 가능성이 농후한,

갖고 있지 않더라도 책 표지를 보면 "아하! 그 책!" 이라고 외칠 그 유명한 책의 "리마스터판"이 나왔다.

벌써 8주년 이라는 것이 더 놀랍다 !!!

 

 

꼼꼼한 책을 보면서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일본 특유의 꼼꼼함을 보여주는 "사이토 고키"라는 분의 저서이다.

아쉽게도 어느 회사에서 연구하고 계시는지 등의 추가적인 정보는 찾을 수 없었다.

 

 

오옷! "개앞맵시" !!! 어디서 많이 들어본 닉네임을 갖고 계신 옮긴이.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라는 책의 번역도 맡으셔서 익숙한가!?

삼성전자 VD 사업부에서도 근무를 하셨었구나...

인사이트, 골든래빗 등의 출판사를 거쳐 지금은 한빛미디어에서 근무를 하고 계신 것으로 보인다 ^^

 

 

근래 봤던 책 중에서 중학교 2학년생의 리뷰를 책에 담아준 것은 처음 본 것 같다 !!!

김경수 학생도 대단하고, 한빛미디어도 대단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Deep Learning from Scratch)"은 시리즈로 구성되어

현재 5권까지 출간되었고 6권도 출간 예정이라고 한다.

 

6권이 출간되기에 앞서 1권의 리마스터판이 이번에 다시 출간된 것이다.

 

 

순서에 상관없이 취사선택(?)하여 볼 수 있다지만

책의 챕터 구성을 보면 1권부터 보는 것이 맞을 것 같다.

 

CHAPTER 1     헬로 파이썬
CHAPTER 2     퍼셉트론
CHAPTER 3     신경망
CHAPTER 4     신경망 학습
CHAPTER 5     오차역전파법
CHAPTER 6     학습 관련 기술들
CHAPTER 7     합성곱 신경망(CNN)
CHAPTER 8     딥러닝

 

이 책은 딥러닝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기초부터 하나하나 차례로 설명해 준다고 한다.

 

정말 그렇다!

심지어 파이썬까지도 챕터를 하나 할당해서 알려주고 있다!!! 와우~!!

 

이 책이 특히 매력적인 것은 특정 라이브러리 사용을 최소화하고,

파이썬 코어 중심으로 실습 코드를 사용하고 있어서 내부적인 구현 사항에 대해 잘 살펴볼 수가 있다.

 

특히 이번 리마스터링을 통해 공부하기에 더더욱 좋아졌다.

 

 

그동안 이 책이 좋다는 것은 알았지만 출간된지 너무 오래되어 아쉬움이 있던 분들은

지금 바로 딥러닝에 대해서 진지하게 공부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된 따끈따끈한 책이 등장했으니 지금 당장 구매를 !!!

 

반응형

와~ 짝! 짝! 짝! 다시 또 서평단으로 선정되었다 !!!

 

 

작년에 한 번 건너 뛰어서 그런지,

이번에 다시 선정 된 것이 정말 기쁘다 !!!

 

개인적으로 지금까지 살면서 잘한 결정 중 하나가

블로그를 작성하기 시작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것 저것 나에게 정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잊을만 하면 한 번씩 보내주는 100달러의 용돈도 짭짤하고... 😍

 

뭐 여하튼,

올해에도 서평단 생활 재미있게 해보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